직무 · 한국가스공사 / 화공직

Q. 가스공사 화공직

안녕하십니까
공기업을 목표로 하는 화학공학도입니다.
지원준비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각 공기업들에서 화공직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주목표는 가스공사와 발전소입니다. 특히, 가스공사는 인터넷 서칭으로는 자료가 많지 않아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1. 가스공사에서 제시하는 직무 설명자료에 적힌 내용은 너무 포괄적이어서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2. 또 이를 위해 필요로하는 역량이나 지식, 경험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2
삼중-홈플-PE
코이사 ∙ 채택률 71%

1. 화공직이라면 화학과 공학분야를 말씀하시는건지요?
맞다면 가스의 질과 같은 연구직도 있고 점검&보수를 하는 점검직도 있습니다.
2. 역량이라면 솔직하게 공기업내에서는 보수적인 기업문화를 잘 따라올수있고 같이 일하고 싶은 분위기의 사람이라면 면접쪽에서는 전혀 문제없습니다. 반대로 자유로운 분위기의 적응되어있는사람은 힘든게 사실이지요.


채택
멘토킹
코차장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공기업 기술직에 대해 답변을 드립니다.
먼저 공공기관에 채용에 대하여 전반적인 설명을 드릴게요. 공기업과 사기업(대기업)의 차이는 출발부터가 다른데요.

1. 자소서
사기업(대기업)은 자소서가 중요하기에 학벌, 학점, 각종 경험(공모전,봉사활동,인턴,알바 등)과 스피킹점수가 중요한 반면에, 공기업은 그냥 필기가 중요해요. 이것저것 잡다한거 필요없어요. 물런 공기업도 자소서 쓰긴하는데 거의 뭐 형식적이죠. 공기업은 채용과정에 있어서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해야 하기에 자소서와 같은 주관적인 항목으로 사람을 평가하진 않거든요.

2. 자격증(스펙)
특히 산업인력공단, 상공회의소, 국사편찬위원회 등의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자격증을 주로 인정하구요. 서류통과 다음 필기를 봐야하는데 필기를 보기위해선 서류를 통과해야하고 보통 사무직(행정직)지원자들의 평균 스펙은 토익850이상+한국사1급+정보처리기사 또는 컴활1급 이정도에요(회사마다 차이있음).

3. 비슷한 점?
그나마 공기업과 사기업의 채용에서 유사점은 공기업의 필기시험에서 최근에 NCS라는 과거 직무능력평가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도입됬어요. 대기업의 직무능력검사와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서점에서 책을 한번 훑어보세요.

4. 기타 사항.
또한 사기업은 지원시에 본인의 전공이 중요하지만 공기업은 직렬이 중요해서 사실상 대학에서의 전공은 큰 의미없어요(공무원처럼 행정 회계 법학 건축 토목 이런 직렬이 중요하단 얘기). 회계 법학을 제외하고는 그냥 행정으로 지원하면 됩니다. 인턴 경험 물어보시는분 간혹 있는데요. 공공기관인턴은 일명 체험형 인턴이라고 부르며, 말그대로 몇 달간 계약직으로 일하는거에요. 정규직전환 안되며 정쥬직 채용시 결정적인 요소도 아니니 본인이 필기통과 할 실력 안된다면 그닥 추천하진 않네요.

결론 1. 각 회사의 직무설명서는 그냥 참고만 하세요 별 내용 없음
2. 역량 지식 경험--->공기업은 스펙만들고 필기 통과하면 됩니다. 자소서는 그냥 솔직하게만 작성 후 저장하세요. 변수 안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