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수력원자력 경력직 적성검사 문의
한수원 경력직으로 이직 준비중입니다.
작년 상반기까지는 지각정확성, 언어유추력 등 효성꺼와 항목이 동일하였는데
작년 하반기 부터 경력직 적성검사 항목이 언어이해, 언어추리 수계산 자료해석 시각적 집중력 등 처음보는
유형으로 바뀌었네요.
효성꺼 말고 어디 꺼를 보고 준비를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혹시 경험해보신 분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수원 경력직으로 이직 준비중입니다.
작년 상반기까지는 지각정확성, 언어유추력 등 효성꺼와 항목이 동일하였는데
작년 하반기 부터 경력직 적성검사 항목이 언어이해, 언어추리 수계산 자료해석 시각적 집중력 등 처음보는
유형으로 바뀌었네요.
효성꺼 말고 어디 꺼를 보고 준비를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혹시 경험해보신 분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경력직 적성검사 항목이 바뀌었는데요, 이전에는 지각정확성, 언어유추력 등의 항목이 있었지만 현재는 언어이해, 언어추리, 수계산, 자료해석, 시각적 집중력 등의 유형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더 다양한 측면에서 경력직 지원자들의 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변경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현재는 어디 꺼를 보고 준비를 해야할지 막막하실 수 있겠지만, 효성꺼 말고 다른 곳을 준비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적성검사는 개인의 적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회사의 적성검사를 보더라도 준비를 잘 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성검사는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력직 적성검사는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업무에 필요한 문제를 많이 풀어보시면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적성검사는 단순히 점수를 얻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적성과 관련된 분야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항목이 나오더라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시면서 도전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한국수력원자력 경력직 적성검사를 보고 합격하였는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드리고 싶었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