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석사 입학 예정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지방 국립대 석사생 입니다.
저는 점탄성 복합재료의 미세구조를 해석하고 설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점탄성과 연관이 깊은 한국타이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Airless Tire 구조해석 파트 공고를 보니 다음과 같은 우대 요건이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유한요소해석 및 해석기법 개발 경험자
위상 최적화 유경험자
복합재료 시험/해석 유경험자
저는 현재 복합재료를 위상 최적화 기법으로 설계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기에 위 우대 요건에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가 진행 중인 연구와 타이어 구조해석 간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고민입니다. 예를 들어, 타이어 구조해석에 대한 경험은 없고, 현재 연구가 타이어 구조의 특수성(예: 접지력, 내마모성 등)과는 거리가 있다고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우대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경쟁력이 약할 수 있다 생각하는데 현직자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타이어 구조해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은 우려할 수 있지만, 관련 기술과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특히, 복합재료의 미세구조 해석 경험은 타이어의 성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직자들은 일반적으로 관련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기술적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는 지원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연구 경험을 어떻게 타이어 구조해석에 적용할 수 있을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타이어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연구에 통합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더욱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