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한국항공우주산업 / 기계설계

Q.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목표인데 진로 고민중입니다

현재목표는 경력 연구직으로 들어가는것입니다

1. 기술직 공무원 과기부에 들어가면 기술쪽으로 경력쌓을수있다던데 이것도 카이에 경력 인정될까요?? 현재 직렬 전기, 기계, 항공중 고민중인데 어떤것이 더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1-1. 카이는 보통 어떤 종류의 경력을 많이 선호하는 편일까요??

1-2. 연구직 경력으로 안뽑으면 신입만 받나요 나이도 많이보는편일까요



2. 학사를 융합쪽으로 따고 기계(메인)+전자+it계열으로 졸업후 석사를 기계설쪽으로 더 심도있게 전문화 시키는게 좋을지 전부터 강세인 AI쪽으로가 다양한 기술쌓는것이 더 도움될지 궁금합니다.

2-1. 학벌도 많이보는편일까요 대학목표는 서울과기대 융합기계공학인데 이후 대학원 SPK수준으로 나와야하나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기술직 공무원으로 경과기술부에 들어가면 기술 관련 경력을 쌓을 수 있으며, 이 경력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기, 기계, 항공 중 어떤 직렬이 더 좋은지는 개인의 관심과 KAI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계와 항공 관련 경력이 KAI와 더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습니다.

1-1. KAI는 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경력을 선호하며, 기계, 항공, 전자공학 등 관련 분야의 경험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1-2. 연구직으로 채용할 때 경력직만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며, 신입도 채용할 수 있습니다. 나이에 대한 기준은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경력보다는 능력과 적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학사 과정에서 융합 분야를 전공하고 기계, 전자, IT 계열로 졸업한 후 석사 과정을 기계설계 쪽으로 전문화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AI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KAI와 같은 기업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1. 학벌은 기업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울과기대와 같은 명문 대학 출신이 긍정적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학원에서 SPK 수준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도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1 .공기업 경력은 사기업에서 통상 잘 인정은 안됩니다.
인사팀에서 조율이 별도로 필요한 부분입니다.

1-1.각 직군마다 경력이 있기에 개인의 전공에 따라 지원하는게 좋습니다.

1-2.경력은 년수만 확인하고 40대만 넘어가지 않으면 됩니다.

2.석사는 한분야로 가는게 전문성이 있다고 보여줄수 있습니다.

2-1. 카이는 사천이고 시골이라서 지방대출신도 많습니다.


K
KAI멘토
코상무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1. 공무원으로서 어떤 경력을 쌓는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라 답변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하는 연구분야에 따라 데이터 융합이나 알고리즘 혹은 비행시험과 관련된 경험, 실제 제품 설계/제작 경험이 있는 분들이 엔지니어로 선발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실무와 관련된 경험이 아닌 경우 주로 사업/영업/마케팅/사업관리 분야로 채용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회사 채용 홈페이지에 기존 경력직 채용 관련된 사항도 있으며, 경력직은 계약으로 뽑는 경우도 많지만 정규직 채용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채용 시점의 회사 환경에 따른 영향이 클 것 같습니다.

2. 현재 무인기 관련 데이터 체계 개발 및 데이터 처리나 제어 관련 부분도 채용이 늘어나는 방향이라 AI도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회사의 기본은 기계 분야인 관계로 원하는 직군이 어느방향인지에 따라 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학벌을 많이 보던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시 학벌이 높을수록 좋을 수 있는 방향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