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목표인데 진로 고민중입니다
현재목표는 경력 연구직으로 들어가는것입니다
1. 기술직 공무원 과기부에 들어가면 기술쪽으로 경력쌓을수있다던데 이것도 카이에 경력 인정될까요?? 현재 직렬 전기, 기계, 항공중 고민중인데 어떤것이 더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1-1. 카이는 보통 어떤 종류의 경력을 많이 선호하는 편일까요??
1-2. 연구직 경력으로 안뽑으면 신입만 받나요 나이도 많이보는편일까요
2. 학사를 융합쪽으로 따고 기계(메인)+전자+it계열으로 졸업후 석사를 기계설쪽으로 더 심도있게 전문화 시키는게 좋을지 전부터 강세인 AI쪽으로가 다양한 기술쌓는것이 더 도움될지 궁금합니다.
2-1. 학벌도 많이보는편일까요 대학목표는 서울과기대 융합기계공학인데 이후 대학원 SPK수준으로 나와야하나요?
1-1. KAI는 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경력을 선호하며, 기계, 항공, 전자공학 등 관련 분야의 경험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1-2. 연구직으로 채용할 때 경력직만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며, 신입도 채용할 수 있습니다. 나이에 대한 기준은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경력보다는 능력과 적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학사 과정에서 융합 분야를 전공하고 기계, 전자, IT 계열로 졸업한 후 석사 과정을 기계설계 쪽으로 전문화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AI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KAI와 같은 기업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1. 학벌은 기업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울과기대와 같은 명문 대학 출신이 긍정적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학원에서 SPK 수준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도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