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현대모비스 / 생산기술

Q. 현대모비스 파이롯트와 공정설계의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현대모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입니다. 제가 두 직무의 차이점을 찾아봤을 때,
파이롯트 : 개발중에 작은 공장을 만들어 테스트한다.
공정설계 : 생산성높이기 위한 공정라인을 구축한다.
이렇게 알고있는데, 파이롯트에서 제품을 테스트 한 후, 테스트가 끝났을 때, 그 제품을 양산하기 위한 공정을 설계하는 것이 공정설계 맞나요??
또한, 제가 전자공학부인데 사용했던 툴이 pspice, QAUARTUS, modelsim 정도 였습니다. c언어나 어셈블리어로 센서를 이용한 제어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했는데, 어떤 직무에 좀더 어필할 수 있을까요?

답변 2
채택
멘토52177
코대리 ∙ 채택률 64% ∙
산업
일치

연구소 / 공장 두 장소의 구분을 보셔야할거 같습니다.
파이로트는 연구소에 딸린 작은 공장이라고 보면됩니다.
차를 다 개발했는데, 연구소 내에서 양산을 테스트해보는거구요

공정설계는 아마 실제 공장에서 생산을 위한 컨베이어를 설계하는겁니다.

양쪽 모두 쉬운 직무가 아닙니다. 업무 특성상 초과 근무도 많을테고요.

질문한 두 직무의 큰 차이는 어디에 소속이 되느냐일 겁니다.
공정<설계> 라지만 공장에 소속되고
파이롯트는 연구소 소속입니다.
pspice는 현업에서 앞으로도 영원히 볼일 없을거구요
제조업은 PLC를 많이 씁니다.
현대계열은 캐드도 카티아를 사용합니다.
C언어를 이용한 센서 제어는.... 전자공학도면 모두 하지 않을까요?
그나마 못하는 학생도 있지만, 크게 강한 어필은 어렵다고 봅니다.
그런 전공 지식보다, 중요한건 영어 능력이니 이쪽으로 강하게 보완해나가시길 바랍니다.


멘토50226
코이사 ∙ 채택률 71%

멘티님,

공정설계라함은,
A라는 제품을 1번부터 8번까지의 공정을 거쳐 양품이 나온다고 가정한다면,

어떻게하면 1번부터 8번까지의 공정에서

1. 비효율적인 소모를 줄일것인가.
2. 어떻게하면 원가절감을 이뤄낼것인가
3. 어떻게하면 1번부터 8번을 7번이나 6번까지로 줄여갈것인가.
4. 어떻게하면 자동화에 기여하는 설계를 할 수 있을까

등의 일련의 '심플'하고 '기계'화 하는 과정이라고 보실 수 있어요.

이 설명이 파이롯트 공정과는 차별화되어 이해 되시기 바랍니다.
*멘티님의 채택은 제 답변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응원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