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모비스 / 선행개발

Q. 선행생기

산업공학과라서 보통 생산관리나 품질관리를 준비하고 있었는데요
생산기술에서도 생산관리와 품질관리의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자동차 선행생기를 위해서면 이러한 산업공학적 지식 외에도
필요한 지식이나 경험이 어떤게 필요할지 고민이 됩니다.
전기전자기계과가 알고있는 전공 지식에 어느 정도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지요..

답변 3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선행생기에서 산공과가 할 수 있는 부분을 어필하시면 됩니다. 기계과가 설비를 깔면 산공은 cpk를 구하는게 정석이지요 그러면 설비를 깔기전 시뮬레이션하는 능력, 통계적으로 유의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능력 / 제공시 얻을 수 잇는 코스트 측면의 기여도 등을 풀어보세오!


채택
캐빈코치
코사장 ∙ 채택률 88%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선행생기도 아주 많은 분야가 있습니다.

엔진, 변속기, 램프 등 다양한 모듈에 대한 선행생기가 따로 있습니다.
각 분야마다 생산 공정이나 품질관리 과정이 아주 다릅니다.

자동차 회사라고 하여 직접적으로 자동차를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인의 전공이 어떻게 잘 활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셔야 합니다.


채택
프로^^
코차장 ∙ 채택률 68%

안녕하세요~ 저희 회사에도 산업공학과 출신 분들이 많은데 반갑습니다. 기본적으로 자동차 회사에 지원하시는 거니까 자동차에 대한 기본 지식은 공부를 하시는게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모비스의 경우는 정공으로 시작해서 현대자동차에 모듈 및 AS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거대 부품회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전자기계 기본 전공 지식에 자동차 관련 지식을 더하면 좋을 듯 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