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HD현대일렉트릭 전기설계 질문 있습니다
전기 설계도 차단기, 배전반, 회전기 등으로 나누어 지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차단기나 배전반을 설계할 때는 Load list 보고 케이블 선정하고 SLD 작성등등 어느정도 알겠는데
회전기계의 설계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궁굼합니다.
설계가 어떠한 단계로 이루어 지며
어떠한 부분이 중요하고 어필할 수 있을지가 궁굼합니다!
관련 경험으로는
전동기 유지보수, 전기 3기사, 캡스톤(구조 설계 담당) 정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전기 설계는 크게 3가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는 전동기 선택 단계입니다. 전동기는 작동하는 장비의 용량과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단상 전동기를 사용하고, 대형 기계나 장비에는 삼상 전동기를 사용합니다. 또한, 회전수, 토크, 축 방향 등의 특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전동기 배선 단계입니다. 전동기는 대부분 3상 전원으로 구동되므로, 적절한 크기의 케이블을 선택하여 배선을 해야 합니다. 배선은 전동기의 용량과 전압 등에 따라 적절한 단면의 케이블을 선택하여 이루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전동기 제어 단계입니다. 전동기는 전압 조절 또는 주파수 변환 등의 방법으로 제어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전동기의 작동 조건에 맞는 적절한 제어 방식을 선택하여 설계합니다.
전동기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전동기는 전기로 작동하므로 적절한 차단기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장비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상 발생 시 조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회전기 설계에서는 효율성과 경제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동기의 용량과 제어 방식을 적절히 선택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며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전동기 유지보수나 전기 3기사 등의 경험을 토대로 회전기 설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분야의 캡스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실무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과 동향을 학습하고,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현대일렉트릭 전기설계 분야에서 더욱 전문적인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