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연구개발

Q. 전자회로설계 관련하여 상담요청드립니다

서울 중상위권 4년재 졸업한 전자전기공학도입니다.

학점3.19 전공은 더 낮은 그런 상태인데 직무와 관련된 역량을 쌓으려 기초적인 전자회로설계 교육과 pcb설계교육(orcad pads이용 로봇액츄에이터 설계)을 하고있습니다.
1. 현차 차량설계 쪽이나 삼성LSI 개발쪽을 지원하고싶은데 워낙 낮은 학점과 학사출신이라 지원을 해도 현실적으로 무리가많은지 알고싶습니다.
2.지금 하고 있는 직무역량을 나름 쌓겠다고 하는것들이 실제 현직자분들이 보시기에 강점 까지는 아니어도 도움이 될 만 한 수준인지 경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3. 마지막으로 회로 설계쪽 관련하여 쌓을수있는 역량이 무엇이 있을까요 ?
뭐든지 열심히 하고싶은데 지금 가는 방향이 맞게 가는지 무엇을 열심히 해야하는지 잘 서지않아 이렇게 상담 요청 드립니다.

답변 3
채택
휴면계정

음... 먼저 같은학교 같은과라서 반갑네요..

소개에 이미 졸업을 하시고 전자회로설계와 PCB설계 교육을 듣고계신건가요?
일단 전자공학전공이 차량설계 파트는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자관련 시스템을 정확히 알아야 되는 부분이 좀 있어서...
삼성전자 LSI 개발쪽을 원하신다고 하셨는데 RTL이나 논립합성, 게이드레벨, 레이아웃, 타이밍 검증 등의 설계공정과 마스트를 제작하고 실리콘 웨이퍼 상에 회로를 구성하는 등의 업무는 아무래도 학부에서 배울 수 없는 부분이 좀 있습니다. (Tool 사용법이나 반도체 공정 및 설계에 대한 기본지식도 많이 필요함)

전자회로 설계 및 PCB교육도 어느정도 도움은 될 듯 하나 임팩트가 클 것 같지는 않습니다.
(면접관을 들어갔을때 실무관련 질문을 했을 시 대부분 대답을 못했어요..ㅡㅡ; / 참고사항은 됩니다.)

굳이 꼭 당장 취업을 해야 되는것이 아니라면 본교 대학원도 추천드립니다. 몇몇 반도체 설계를 메인으로 하시는 교수님들을 찾아뵙고 2년정도 관련분야 전공을 공부하고 논문등의 실적을 바탕으로 다시 도전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멘토52177
코대리 ∙ 채택률 64% ∙
회사 산업
일치

같은 전자공학도로써 PCB 설계는 대기업 가기에 적합한 능력이 아닙니다.
전자공학도써 목수 능력이 있다면?? 그래도 스킬이니 도움이 될까요?
저도 PCB 설계하는 전자설계기능사 인가? 땃엇는데, 이력서 쓸떼 그런 자격증은 적어놓을 자리조차 없더라고요(보통 자격증 3개 초과 적을 공간 없음)
업무할떄도 PCB 할일 있으면 그냥 업체에 외주 맡겨버리죠.

모든 직무에 있어 설계는
<기본설계>
<상세설계>
로 나뉩니다.
기본설계는 어떠한 제품 등을 만들때 필요한 핵심 기술이나 공정 원리 등 기본 컨셉을 잡는거고
상세설계는 그야말로 디테일하게 가는거죠.
PCB 설계로 보면
주요 반도체를 무엇을 고를지, 저항은 몇 옴을 할지 등등 회로원리나 구동 원리를 고려하여 필요한 이론에 베이스한 설계를 기본설계라고하면
선이 어떻게 90도로 꺽던 점프를 하건 연결만 되면 되잖아요? 이런걸 상세설계라고 합니다.

당연 기본설계가 중요하겠죠?

다시 자동차 회사로 넘어오면
자동차 회사의 메인은 기계공학과 이고 전자공학은 마이너 입니다.
하지만, 요새 추세가 좀 변화하고 있죠.
그렇다고 해도 아직까지는 전자공학보단 기계공학을 선호하고 자리도 많습니다.
그만큼 전자공학도가 자동차 회사 들어가기는 문이 좁다고 볼수 있는데
현재 유망한 미래차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친환경차
빅데이터
이런 부분을 공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특히 전기차의 구동 원리는 모터와 배터리라서 전기/전자 비중이 높고
그외 분야도 기계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강조되는 분위기입니다.

학사도 많이 뽑는데, 하는일은 연구원신분을 가진 따까리 행정병이라고 보면 되고
석사도 크게 할일은 없습니다. 업체에 하도급 주고 갈구는게 주 업무죠.
해외 박사 정도나 외국자동차 업체 수석 엔지니어 정도 되야 뭐 주도적으로 개발해 나갈수 있고요.

꼭 R&D가 아니어도 플랜트운영 / 플랜트기술 / 경영지원 등 지원 분야가 많으니까
시야를 넓게 보시기 바랍니다


지미롤1
코차장 ∙ 채택률 71%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1.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연구원들이 모두 석사 박사 출신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학사 출신들이 오히려 대부분이죠. 입사하는데는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입사를 대졸 공채로 뽑으니까요.
저도 전자공학 학사출신으로 입사를 했지만, 학사 출신이어도, 충분히 본인의 능력을 펼칠 수 있고.. 자동차 설계가 생각보다 그렇게 큰... 능력이나 전공 지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어떻게보면 단점이 될수도 있겠네요)

2.혹시 학교에 자동차 동아리나, 기계동아리, 자작자동차 동아리가 있을지요. 그런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동차에 대한 지식을 쌓아나가는것을 추천드립ㄴ디ㅏ.

3. 일단 현대자동차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회로쪽 설계는 아무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전자회사에 필요할 수 있겠찌요.
먼저 본인이 지원하고자하는 회사를 명확히 해서(삼성전자LSI와 현대자동차 연구원은 방향이 완전히 다릅니다.) 본인이 지원할 방향에 대해 커리어를 쌓아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