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연구개발

Q. 현대자동차 연구소에 가고싶습니다.

화학과가 자동차 연구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뭐가 있을까요?
제가 생각해 봤을 때 현대자동차가 수소차같은 친환경차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거같은데, 의왕연구소에서 필요한것같아서요.
의왕연구소는 많이 안뽑을 것같고 남양연구소쪽에 어필할 만한게 있을까요?

답변 3
채택
캐빈코치
코사장 ∙ 채택률 88%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신소재 공학과, 화공학과라고 하시면 친환경차 이외에도 하실 수 있는 업무가 많습니다.

내연기관이나 소재부문 등도 신소재와 관련된 일이 많습니다.
선행으로 신소재의 부품들을 개발하는 업무를 하는 부서도 많습니다.

다양하게 알아보고 본인에게 맞는것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채택
H
Hongineer
코이사 ∙ 채택률 84%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한양대학교 후배들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진행해온 hongineer입니다.

그냥 이학 화학과 보다는 신소재공학으로 지원하시면 소재부문 관련 엔지니어가 되실 수 있습니다. 재료쪽으로 해서 자동차체의 경량화 등 소재도 중요하거든요. 지금 저학년이시면 관련전공 들으시면서 자동차 관련 프로젝트 경험 쌓으시면 좋구요. 차량설계 등 공고가 뜰 때 자세한 설명이 같이 곁들여지니까 보시고 지원하시면 됩니다.

GIST시고 친환경차에 관심 있으시면 학부만 하시는것보다 석박사 하시는게 더 좋습니다. 친환경차 연구는 선행개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석박사들이 더 유리한 느낌이 있거든요. 전공을 다양하게 접하실 수 있으시면 산업공학쪽도 들어 놓으셔서 기아 품질쪽으로 지원하셔도 괜찮을 것 같구요.

화이팅입니다!


채택
멘토48385
코사원 ∙ 채택률 100%

자동차는 전방위 산업입니다 다시 말해서 전공을 불문하고 다양한 분야에 능력있는 사람을 뽑게 됩니다
다만 전공분야에 따라서 정원이 틀려진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화학보다는 바로 적용이 가능한 신소재분야에 더 많은 인원이 할당됩니다 즉 경쟁하는 인원이 틀리다거죠
또 회사에서 개발로 롱런하실려면 최소 석사. 또는 박사 학위가 있는게 좀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신소재나 공정쪽으로 석사나 박사 진학을 생각해 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