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현대자동차 / 연구개발

Q. 현대자동차 파워트레인 부서에 대한 질문입니다.

1. 현대자동차 파워트레인 부서에서는 3D 설계툴로 PRO/E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PRO/E만 사용하는 지 궁금합니다. CAM수업에서 PRO/E를 다뤄 본적은 있지만 제대로 사용은 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CATIA의 경우 자격증 취득 등으로 수업만 들은 친구들 보다는 잘 다룰 자신이 있는데 CATIA 활용 능력으로 파워트레인 부서에 지원할 때 어필이 될 수 있을까요?

2. 최근 자동차 전동화가 진행되면서 내연기관이 사양 산업이다 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현대자동차에서도 내연기관 부분을 축소하려고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의견은 최근 전기차의 충전속도나 배터리 용량 부분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늘어난 배터리 용량 만큼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하게 될텐데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대체하게 되면 늘어난 전기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것 같아서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배출가스 규제를 맞추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대안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3
채택
캐빈코치
코사장 ∙ 채택률 88%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현대기아의 PT관련업무를 하고있습니다.

1. 프로E만 사용
프로이만 사용 합니다.
외관 관련부품(범퍼, 프레스)는 카티아이며 피티는 프로이만씁니다.
카티아에 대한 어필은 크게 효과적이지 않을듯 합니다.

2. 유지될것으로 예상합니다.
사견으로 디젤이 줄것이라는 생각은 있지만 내연기관전체 비중이 줄어들 것인가는 의문입니다.
하이브리드 같은 경우도 내연기관이 그대로 쓰이고
전기차나 수소차의 경우도 변속기를 완전 배제하고 사용하지못합니다.
변형된 형태로 발전할수는 있어도 완전히 전환되진 않을듯 합니다.


채택
H
Hongineer
코이사 ∙ 채택률 84%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hongineer입니다.

일단 캐드실력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캐드를 다루지 않았더라도 관련교육이 잘 되어 있어 금방 습득할 수 있구요. 자소서에 캐드 관련해서 어필하시는 것보다 본인의 설계능력을 강조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파워트레인은 자동차의 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연구원들도 엔진 관련해서 공부를 계속 해야 하고 역학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으로 어필을 하셔야 승산이 있습니다.

자동차의 미래는 아무도 예견할 수 없겠지만 제 생각에도 내연기관은 향후 몇십년간은 계속 남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파워트레인쪽에 지원하실거면 너무 친환경차에만 어필하시는것보다는 기존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취뽀 화이팅입니다


채택
코이와이
코과장 ∙ 채택률 96% ∙
직무 학교
일치

학교 학과 후배님을 여기서 보니까 반갑네요.
두산산업차량에서 연구개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아니지만 산업차량 쪽 일을 하고 있어서 조금은 도움을 드릴수 있을 것 같네요.

1. 타 프로그램에 대한 어필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제가 생각할때 대부분 설계프로그램이 비슷하기 때문에 사용 능력에 대한 어필과 관련 경험을 잘 풀어서 이야기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2. 획기적인 기술 개발이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내연기관은 20년 이상 높은 점유율을 유지할 것 으로 생각됩니다.

대학생활 하시면서 경험하셨던 다양한 경험들을 잘 녹이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