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제품설계

Q. 서스펜션(쇼크업소버) 활용한 진동 억제 경험이 차량설계 직무에 필요한 경험일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현대자동차 상용차 설계 직무에 자소서를 작성중입니다.

다른이 아니라 자율주행 카트에 서스팬션에서의 쇼크업소버를 바퀴축에 달아

험지에서 카메라의 진동을 제어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설계 직무에 강한 어필이 될까요?

설계 현직자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안녕하세요. 설계 직무에서는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며, 자동차 설계에서는 특히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서스펜션(쇼크업소버)을 활용한 진동 억제 경험이 설계 직무에 강한 어필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설계에서는 차체의 무게 분산, 주행 안정성, 충격 흡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서스펜션은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서스펜션을 활용한 진동 억제 경험은 설계 직무에서 필요한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설계 직무에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경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도 함께 어필할 수 있는 자소서를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계 현직자로서 제가 조언드리자면, 이 경험을 꼭 어필하되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도 함께 어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설계 직무에 대한 열정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설계는 매우 도전적이고 복잡한 분야이기 때문에 꾸준한 공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설계 직무에 지원하시는 분들께서는 자신의 경험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지식과 열정을 더욱 키워나가시기 바랍니다.

설계 직무에 지원하시는 분들께 힘찬 도전과 성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네 저는 어필이 되는 요소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 진동을 제어하는 것들이 설계와 연관성이 있는 것이라서 저는 핏한 경험이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는 해당 내용을 포인트로 삼아서 이야기를 하면 좋다 생각합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내장부품 설계를 담당하기 때문에 설계 경험은 도움이 됩니다. 이 설계를 통해 상용차 자체의 진동을 줄이는 결과를 냈으니깐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
q
qweojkm
2024.03.14
단순 쇼바와 스프링을 통한 제어경험을 자소서에 쓴다고 강점이 될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