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CJ제일제당 / 품질관리

Q. 식품 품질관리 직무로써 이해가 부족합니다

전 여자이고 식품공학과를 전공하여 품질관리 직무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근 최종면접까지 갔지만 아직도 품질관리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1.현직자분들이 생각하시기에 어떤 직무를 맡고 계신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2.식품쪽 품질관리 직무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되시나요?
3.자기소개서에 어떤 점을 강조하거나 경험을 강조하면 좋을 지 조언해 주세요

답변 3
멘토50838
코대리 ∙ 채택률 64%

1. 품질관리 업무는 쉽게말해 제품 출하 전 규정된 시험법에 적합한지 실험을 진행하는 업무입니다. 품질관리는 무조건 실험만 하는 것은 아니고 물론 페이퍼 업무도 진행합니다. 페이퍼 업무는 주로 품질 리스크나 실험 방법에 관한 업무를 진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식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식품은 식약처에서 어떻게 관리를 하는지, 요즘 식품관련
이슈는 무엇이고 이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지 정리해보세요. 더 나아가 지원하실 품질관리에 대한 간접 경험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식품기사나 실험실 경험 또는 인턴이면 좋습니다.

3. 품질관리는 정확성과 신속성을 요합니다. 정확하게 실험을 하여 정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속하지 못하다면 제품 출하 지연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겠죠. 대학교 경험을 쓰세요 분석기기를 돌린 경험이 있다던가 특히 식품쪽은 미생물 실험을 많이 하니 참고해보세요.

감사합니다. 건승을 빕니다.


채택
삼바라면
코차장 ∙ 채택률 77%

최종면접까지 가셨다니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그럼에도 이해가 부족하다고 하는 겸손한 자세를 가지신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채용은 상대적이고 기업의 제한된 채용계획 내에서 이루어지다보니 기회가 닿지 않은 것 같네요. 최종면접까지 간 이력을 자신감으로 삼고 열심히 도전합시다.
1. 식품,약품 등 모든 제조산업은 크게 두 가지 직군으로 나뉩니다. 바로 제조와 제조의 품질보증입니다. 제조품의 품질은 독립된 직군에서 보증하게 되는데 제조품의 성격에 따라 관리되는 강도나 영역은 조금씩 다르겠죠. 먼저 QC는 제조품의 검체를 시험함으로써 제조되는 Lot의 품질을 보증하고 QA는 제조의 처음부터 춣하까지 즉, 원자재의 입고부터 완제품의 출하까지를 표준절차로 정의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조품의 품질을 보증하게 됩니다.
3. Quality Unit 의 주된 역할은 제조부의 감독 및 검증입니다. 독립된 조직으로써 제조품의 안전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기때문에 정직함과 성실함이 어필되어애 하고, 제조부서와의 갈등 소통을 잘해야해기 때문에 갈등상황에서의 원활한 소통력도 어필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2. 입사 전에는 특별하게 요구되는 역량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지원하는 직군의 전공과 그 전공 을 성실히 수료하였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좋겠죠.


채택
휴면계정

제 후배시군요ㅎㅎ반갑습니다.
전 직장에서 식품분석직무 경험을 토대로 품질관리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1. (1) 실험
A. 아시다시피 생산품을 샘플링에 규격에 맞는 제품인지 (ex. 스낵제품의 경우 산가 과산화물가, 음료의 경우 탁도 색도 등..)를 검사합니다. 기준규격에 이탈시 팀장에게 보고하고 출하정지 등 사후 대책을 강구할 실험적 데이터를 구축합니다.
B. 원료 또한 입고 검사를 합니다. 오리온의 경우 견과 스낵제품이어서, 땅콩 아몬드의 아플라톡신 검사/파이류에 들어가는 계란의 잔류농약 검사/각종 원료의 미생물검사 등등을 진행합니다. 원료의 입고때마다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업무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상이 발견될시(미생물의 기준치 이상 검출, 아크릴아마이드의 기준치 이상 검출 등) 어느 공정에서 발생된건지를 빠르게 파악해 해당 공정의 이상 유무(ex 아크릴아마이드 기준치 이상-튀김기나 오븐의 온도 이상추측 등)를 빠르게 캐치하여 생산의 차질을 줄이는 것이 주요 업무입니다.
C. 이물관리
공정중에 발생 가능한 이물을 사전에 차단하고, 발생된 이물의 원인 파악및 소비자 클레임을 대응하는 업무을 수행합니다.
(2) 서류/행정 업무
오리온의 경우 HACCP이외에 자체AUdit 검사 진행 및 사후 대책 강구, 미국의 제과품질인증 프로그램을 받는데, 이에 필요한 서류 구비/일정 조율/사후 개선사항 관리 등등 각종 인증과 관련된 서류업무를 진행합니다.

2. 입고되는 원료부터 완제품까지의 품질을 초기에 기획한 품질기준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핵심 요구 역량입니다.
따라서 품질적 문제 발생시 빠르게 문제를 대처해 생산차질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학적 지식과 더불어 공정의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품질관리의 경우 시키는 실험 업무만을 진행하게돠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데(실제로 제가 qc들 데리고 일하면 매우 수동적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주도적으로 품질개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생산관리팀과 공유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할것 같습니다. (Ex 파이류에 일부 원료에서 곰팡이가 자꾸 생기는것을 품질팀에서 파악하면 이를 연구소와 생산관리팀과 공유하여 생산공정을 바꾸는 노력 등을 진행..왜냐면 추후 식품안전사고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

3. 인턴경험이 제일 좋겠지만, 그것이 없다면 앞에분들이 말하신댜로 정직/성실을 어필하시고, 수동적인것 보다 적극적으로 업무를 추진할수 있다는 능력을 보여주시는게 중요할것 같습니다.

꼭 성공하시어 원하시는 회사에서 멋진 직장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