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홈쇼핑 QA, 데이터 분석역량이 필요할까요?
통계 및 데이터 분석에 관해 다양한 활동을 한 산업공학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홈쇼핑 QA에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역량이 홈쇼핑QA에 어필이 될까요...?
제 생각엔 아무래도 공정이나 제조업이 아닌지라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진 않을 것 같습니다ㅜㅜ
어필이 되지 않는다면, 산업공학을 전공한 지원자로서 어떤 것을 이야기하는 게 좋을까요?
통계 및 데이터 분석에 관해 다양한 활동을 한 산업공학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홈쇼핑 QA에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역량이 홈쇼핑QA에 어필이 될까요...?
제 생각엔 아무래도 공정이나 제조업이 아닌지라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진 않을 것 같습니다ㅜㅜ
어필이 되지 않는다면, 산업공학을 전공한 지원자로서 어떤 것을 이야기하는 게 좋을까요?
[홈쇼핑 - 업 / QA - 직무]를 구분해서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지에스 모바일 채널 제외 기준,)
홈쇼핑은 티비를 매개로 자사 또는 협력사의 상품을 직간접적으로 판매하는 유통사입니다. 특히, 타 유통사와 달리 홈쇼핑은 면허사업자로 제품과 관련한 CS 고객 이슈가 사업에 굉장한 위험요소입니다.
그 고객 이슈 중 대다수 차지하는 것이 바로, 제품 품질에 대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점검하고 고민하는 일이 QA인 것이죠.
그렇다면, 하루에도 수많은 종류의 상품이 들어오고 나오는 상황 속에서 어떻게 높은 수준의 품질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1) QA 담당 직원을 확충해서 반복 점검한다.
2) 비효율적인 QA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효율을 높인다.
당연히, 비용은 낮으면서도 효과적인 2)번이겠지요.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업에 대한 이해와 QA 직무에서 발생하는 기존 레거시 데이터를 다뤄봐야 하겠죠.
즉, 선생님의 데이터와 관련된 경험은 충분히 어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이, 그 업과 직무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먼저 이해하고 내 경험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고생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202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