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시스템공학과를 나왔습니다.
비전공자로 금융권에 도전하는데 매번 서류에서 탈락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서 필수적인 스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야
야채돌이
KT
코차장
∙ 채택률 74%
금융권 인턴과 대외활동 자격증 밖에 없을것같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인 내용과 어떤이을 하는지 본인이 막연한 금ㅇ융권에서 업무하는게 아니고 어떻게 일을 할것인가에 대한 목표를 잡으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자격증있다고해서 다 붙는건 아닙니다 . 전문적인 자격증 아니면요 금융에 맞는 대외활동 자격증 인턴활동 부터 해주시면될것같습니다,
S
Scottseven
HD현대오일뱅크
코부장
∙ 채택률 87%
안녕하세요 멘티님,
우선 금융권은 가장 전공이나 학벌을 보지않는 산업입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나 지원한다고 합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죠. 비전공이라 하더라도 해당산업에 대한 열정이 있고, 준비를 해왔다는 시그널을 줘야 합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 금융권에서 비전공자라 하더라도 채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1. 금융 관련 자격증 소유자(CFA, CPA, CFP 및 금융3종 등) 2.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3. 금융권 인턴 경험
위 세가지 정도의 이력 중 한가지라도 있다면 금융권에 도전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2번의 경우 지금상황에서는 어려울테니 1번이나 3번으로 방향을 설정하시면 좋겠습니다. 다만 인턴도 1번이 갖춰져야 가능한 경우가 많으니 어려운 자격증 말고 금융3종이라도 빨리 준비하시고, 인턴 후 정규직에 도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뿜
뿜뿌뿌뿜뿜
현대하이라이프손해사정
코이사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멘티님
저도 비전공자지만 은행을 준비해보았던 기억을 되살려보면, 해당 경험 ( 대외활동 및 공모전, 금융회사와의 연결고리) 을 최대한 살려서 썼던것 같습니다.
전공은 복수전공을 하지않아 연결고리를 찾기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희망을 가졌던건 비전공자이고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거의 전무했을때에도 전형에 합격했었습니다. 오히려 그후에 더욱 자격증 공부 및 관심을 갖게되었구요.
너무 비전공자라고 속상해마시고, 지금이라도 쌓을수있는 경험과 인턴 자격증 등에 지원하여 도전해보세요.
그리고 전체적인 내용과 어떤이을 하는지 본인이 막연한 금ㅇ융권에서 업무하는게 아니고 어떻게 일을 할것인가에 대한 목표를 잡으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자격증있다고해서 다 붙는건 아닙니다 . 전문적인 자격증 아니면요
금융에 맞는 대외활동 자격증 인턴활동 부터 해주시면될것같습니다,
201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