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KT / 네트워크운용

Q. 인프라엔지니어 직무를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인프라(네트워크, 서버, 보안) 엔지니어 직무로 취업을 희망하고 KT네트워크운용, 롯데정보통신을 목표로 노력중입니다.

1. 인프라엔지니어의 경우 일반기업의 IT부서(금융권 it, 삼성전자 ce/im) 는 뽑지 않는건가요?

2. 제가 나름대로 찾아본 바로는 SI업체(삼성sds, LG cns, SK c&c, 포스코 ICT) 등도 인프라 사업영역이 있는데 취업준비방향, 실무 내용 등의 정보가 없어서 현직자 선배님들께 여쭤보고싶습니다.

3. 네트워크 분야를 공부하였는데 현 시점에서 CCNA 자격증을 준비할지 인적성을 준비하는게 맞을지 고민중입니다. CCNP 수준으로 공부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서류통과를 위해 CCNA를 따야될까요?

답변 5
채택
S
SQL대장
코차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IT 분야중에서 인프라 쪽에 관심이 많으신 멘티님이시네요.

1. 대기업이나 금융권에도 인력이 필요하나 자리가 많이 없는 편입니다. TA역할을 하는 분들이 큰 그림을 그리면 나머지 서버 및 네트웍 구성은 외주 형태로 보통 진행을 해서 TA 몇분 빼고 자리가 많이 없습니다. 삼성 sds나 각 금융사의 it계열사가 있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2. 메이저 SI에서도 하도급 형태로 많이 진행을 하다보니 실제 서버 구성, 라우터 스위치 설정등은 외주업체에서 많이 합니다. 사실 엔지니어라는 느낌보다는 관리자죠.
엔지니어는 대부분 갑사보다는 을이나 병쪽에 많이 있습니다. 신입사원으로 가시면 직무구분 없이 입사먼저 하셔서 나중에 진로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셔야 할거 같네요.

3. 관련 자격증은 하나라도 더 있으면 유리합니다. 그렇다고 인적성을 소홀히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인적성은 입사할 자격을 테스트 하는 것이고 자격증은 그 사람이 가진 스킬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가 봤을 때 같은 인적성 점수라면 전 자격증 있는 사람을 선호할 거 같습니다.

앤지니어가 꿈이시라면 일이 분업 되어있는 대기업 si 보다는 조금 작은기업 또는 저축은행이나 캐피탈 업권 전산부에 가셔서 실력을 쌓으신후 경력으로 이직하시는 방법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건승하세요!


채택
휴면계정

아래와 같이 답변드리고 궁금한거 있으시면 연락주세요
1. IT부서에서 인프라 엔지니어 채용도 하긴 하지만 정말 극소수라 알고 있고 대부분 그 자리는 경력으로 뽑습니다.
2. 보통 사업의 경우 윗분 말처럼 하청이 대부분으로 원하시는 인프라엔지니어는 아닐것으로 판단됩니다.
3. CCNA, CCNP자격증도 좋지만 CISA 혹은 CISSP를 취득하는게 어떨지요
CCNA혹은 CCNP는 다소 자격증에 대한 이점은 많지 않습니다. 이유는 취득하기 너무 쉬운 자격증이라... CISA의 경우 추후 인프라영역에서도 관리 감사등 도움이 많이 되실것 같고 아니시라면 인적성 공부에 힘을 쏟을 필요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돔황
코부장 ∙ 채택률 74% ∙
회사 직무
일치

현재 이쪽에서는 자리가 많지 않습니다. 다른 회사에서도 해당 분야에 대한 채용이 인원이 매우 소수 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k
kalimdor
코부장 ∙ 채택률 41% ∙
회사
일치

1. 생각하시는 인프라엔지니어의 업무는 무엇인가요 금융권은 IT직무 인력이 필요해서 뽑습니다. 삼성 CE/IM 이야 매년 사람 많이뽑고있고요
2. 주로 대기업은 사업기획 설계정도합니다. 사업 총괄하는게 들어본회사들의 역할입니다. 실무내용을 몰라도 취직하는데 문제는 없으니 너무걱정하지 않으셔도됩니다.
3. 자격증 유무가 서류통과에 영향력이 절대적인것은 아니지만 뭐든 공부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인적성준비는 특별히 하시지 않아도됩니다.


채택
니트로
코상무 ∙ 채택률 90% ∙
회사 직무
일치

채용 인원은 해마다 달라서 구때그때 확인하셔야 합니다. 또한 CCNP수준으로 공부하셨어도 자격 취득이 안되오있으시면 인정이 안되니 참고하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