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KT / 모든 직무

Q. 유통영업전문가? 현장형전문가?

안녕하세요!
유통업 직무를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ㅎㅎ

코멘토에서 선배님들께서 여러가지 답변 달아주신 것을 보다보니, 현장형 전문가와 유통영업 전략 전문가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는데요~!

차이가 무엇인가요?

대리점. 매장 등에 계속 남아있는다면 현장형 전문가가 되는 것이고 사무직으로서 기업에서 진행하는 프로모션, 등을 기획하는 것은 유통영업 전략 전문가인가요?

답변 2
채택
드왈레
코이사 ∙ 채택률 78%

아마 채널에 따른 차이인 것 같습니다

통신사에서의 영업은 오프라인 영업과 온라인 영업으로 나눌 수 있어요

오프라인 영업은 매장, 홈플러스와 같은 할인마트, 가방판, 전단지 영업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의 상권과 고객들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어야겠죠

하지만 온라인 영업을 굳이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없죠. 대신 타사의 지원 규모라던가 고객들의 유입경로, 대리점의 영업 지원 등등에 대해 신경써야할 것 같아요

하지만 기업에서 유통채널관리 직무에서 원하는 것들 중 현장감이라는 것은 아주 큰 부분이니까 참고바래요 ㅎㅎ


채택
굿
굿스피드
코사원 ∙ 채택률 100%

통신사 영업채널 조직은 크게 1)본사staff 조직과 2)현장지점조직으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본사staff조직에서 연간/월간 목표를 기획하고 각 영업채널의 정책을 수립한다면 그것을 전달받은
현장지점조직은 각 지역에 사무실을 따로 두고 권역을 기반으로 가입자 또는 매출 목표를 실제로 달성하기 위해
액션을 취하는 조직(대리점 관리, 신규대리점, 인원 영입 등)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사직원이 대리점과 매장에서 직접 근무하지는 않고요 그 채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로 시작해서 지점장(팀장급)으로 성장을 하게되는 것이고요
각 채널(대리점, 직영점, 제휴채널, 온라인이냐 오프라인이냐 등등)간 비용/매출 효율성을 따지고 실적을 분석해서 그에 맞는 정책과 프로모션을 만드는일이
본사staff의 임무입니다.

통신사 영업조직은 사실 세련된IT회사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유통회사 조직과 문화에 훨씬 가깝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사스탭은 각 채널의 특성과
장단점을 누구보다 잘알아야하고 현장과 comm하는데에도 적극적이어야합니다. 실제 유플러스에서는 둘중 한가지 업무만 배정하지 않고 순환보직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