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G이노텍 / 공정기술

Q. actuator 공정기술

actuator 공정기술 직무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한다고 알고있습니다.

공부 초기 단계여서 공정이 어떨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설비가 있고, 엔지니어가 파라미터를 제어해서 원하는 수치, spec대로 만들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인가요?

그와 관련해서 아래 업무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모바일 카메라 Actuator 분석 및 수율 향상
제품 평가 및 데이터 분석
DOE 검토 및 표준화 관리
치공구/공정 Tray & 지그 설계 및 생산 설비 Concept 고안
생산 설비 및 생산 공법 연구 개선

감사합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Actuator 공정기술 직무는 다양한 업무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모바일 카메라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각 업무에 대한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바일 카메라 Actuator 분석 및 수율 향상: 이 과정에서는 제품의 성능을 분석하고, 결함 원인을 파악하여 수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합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최적의 설계를 도출합니다.

2. 제품 평가 및 데이터 분석: 제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고, 필요한 개선 사항을 도출합니다.

3. DOE 검토 및 표준화 관리: 실험 설계(Design of Experiments, DOE)를 통해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공정 조건을 설정합니다. 이 과정은 반복적인 실험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4. 치공구/공정 Tray & 지그 설계 및 생산 설비 Concept 고안: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치공구와 지그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공정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새로운 생산 설비의 개념을 고안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5. 생산 설비 및 생산 공법 연구 개선: 기존의 생산 설비와 공법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새로운 기술이나 방법론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이와 같은 업무는 엔지니어가 공정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설비를 최적화하여 원하는 사양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내어
코대리 ∙ 채택률 100%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Actuator 공정 중 Ass'y 와 Base 가 나뉘는데요, 저는 Base 쪽에 근무를 했었습니다. 지금은 다른 쪽으로 옮기긴 하였지만, 제 경험에 빗대어 설명 드리겠습니다.

1.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설비가 있고, 엔지니어가 파라미터를 제어해서 원하는 수치, spec대로 만들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인가요?
└ 네, 맞습니다. 외부 업체 설비가 있고, 저희가 파라미터 값을 조정해서 spec 규정하에 알맞게 생산되도록 제어합니다. 외부업체가 상주해 있다면 외부업체 엔지니어에 값을 조정해달라고 부탁을 하기도 합니다. (모 설비는 중국사라 통역사를 동반) , 또 전산상에 데이터가 남는데, 데이터를 그래프화 하여 UPH 확인, 불량 체킹하여 파라미터값 수정, spec 조정 합니다.

2. 모바일 카메라 Actuator 분석 및 수율 향상, 제품 평가 및 데이터 분석, DOE 검토 및 표준화 관리에 해당하는 업무
└ Ass'y 에도 Base 에도 공정이 여러개 있다보니 개선점에 대하여 검증을 할 일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해당 부붐을 제거하고 생산하였을 때 vs 살짝만 자르고 생산하였을 때와 같이 검증을 할 일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측정값 확인 등 분석합니다. Ass'y에서부터 흘러와 Base 초기에 컷팅하던지, 엔드까지 가던지, Base 초기에 시작해 Base 엔드에 끝나던지, 또는 해당 공정만 생산하던지 등등 진행하면서 값 체킹합니다. 결과 보고 이슈 사항 등 미팅 대응하고, 경쟁업체와 업무 진행 공유합니다.

3. 치공구/공정 Tray & 지그 설계 및 생산 설비 Concept 고안, 생산 설비 및 생산 공법 연구 개선에 해당하는 업무
└ 23Y, 24Y, 25Y 등 매년 고객사 제품의 크기, 규격 등 spec 값이 바뀌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치공구, Tray, jig 가 변경 or 재가공 되야 합니다. 치공구와 제품에 barcode가 있는데, 설비 안에서 이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만약 고객사 제품의 크기 변경으로 인해 제품의 barcode 위치가 수정이 되었다면, 그에 따른 치공구, Tray, 설비 barcode 센서 위치 등 전체적으로 수정을 해야합니다. 이후, 개발팀에서 생산하면서 체킹하면서 전공정 test 진행합니다. (앞에선 인식되도 뒤에선 인식 안될 수 있어서)

너무 중구난방으로 설명한거 같은데, 저도 기억을 더듬으며 쓴거라서 두서가 없네요.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파이팅하세요.



댓글 0
2
2025반도체취업기원
2024.12.09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
2
2025반도체취업기원
2024.12.09
반도체 공정처럼 공정 이론이 공개되지 않아서 이렇다 할 포부가 떠오르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내어
2024.12.09
아무래도 고객사 비중이 높은 직무라 그런거 같네요..

생산 기술 직무가 현장(계약직 인원, 정규직MT)과의 커뮤니티가 잘되야하고, 생산(개발) 트러블 대응이 잘 이뤄져야해요.

작성자님께서 학교, 자격증 취득, 이외 커리어 등을 쌓으면서 얻었던 경험을 기반하여 LG이노텍에서 잘 녹여낼 수 있다...? ㅎㅎ,
채택
r
reinheart
코차장 ∙ 채택률 63%

1 엔지니어가 파라미터 제어하고 설비는 설비엔지니어가 합니다
2 엔지니어는 공정엔지니어가 하는 것이 분석과 수율향상이고 제품 데이터 분석 진행합니다
3 생산설비 공법연구는 생산관련 사람들이 없다면 QC QA 가 많이 하며 공정쪽에도 어느정도 분담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