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G전자 / 영업관리

Q. 삼성, LG전자 국내 영업 직무가 궁금합니다

유통사 가맹점주 모집 영업 경험 바탕으로 가전 영업 지원하려합니다.
직무관련 명확한 지식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B2B 영업을 생각하면 담당하는 지역의 신규 판로 개척 및 관리로 생각되는데 업무 루틴이 궁급합니다.
B2C 영업의 경우 상기 회사 모두 국내총판법인이 따로 있어 직접적인 판매보단 영업관리일 것 같습니다. 통신사/하이마트 등 유통사 채널관리를 하는 건가요?

최근 전자제품 유통에 있어 트랜드는 무엇인가요?

답변 3
채택
끼몽
코과장 ∙ 채택률 79% ∙
회사
일치

제가 가전도 아니고 영업 부서도 아니어서 명확한 답은 못드리지만
전장 사업부 같은 B2B쪽의 영업 직원 업무 루틴은
완성차회사에 부품수주를 위한 영업 지원/
계약된 물량의 수량의 생산관리/
제품에 대한 패키징이나 딜리버리 타임 관리/
수익률 관리 등이 있는것 같습니다.

국내 영업쪽 B2C에서 스마트 폰인 경우에는
지역별 대리점 재고 및 수익 관리/
대리점에 신제품에 대한 상세 내용 및 판촉 물 관리 및 공유/

등인것 같습니다.
제가 비영업 이라서(품질)직군이라서 많은 정보는 못드리지만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권이아빠
코대리 ∙ 채택률 73% ∙
회사
일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영업이라하면 결국 사람을 상대하는 업무로써 인과 관계에 대한 스킬들이 매우 필요합니다.

협상 스킬(양자간 이득을 취할수 있는것), 설득 스킬(내 의견으로 끌어들이는것), 등등 책이나 동영상으로만 보아 왔던것을 실현해 보는 자리기도하지요.

결국 내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인과 관계 스킬 또는 경험을 잘 살려내서 면접에 응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상대방을 설득을 했거나 협상을 했을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를 하시면 좋겠죠.
- 교수와 학점을 가지고 협상을 했거나, 배낭여행을 가는데 여행사 직원과 쇼부를 쳤거나, 일상 생활에서 일어난 경험 중심으로 하면 좋을듯 합니다.

직무 관련 업무들은 결국 시스템 입니다.

현업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떻게 일을 하게 되는지 알 수는 없으나, 시스템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투입전 교육을 받고 들어가게 되고, 교육후에는 어느정도 이를 활용할 수 있게되죠.

자신이 어필 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해서 말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채택
한창우
코과장 ∙ 채택률 78% ∙
회사
일치

유통사 가맹점주 모집영업은 B2B에 그나마 가까워 보입니다.
다만 LG전자에서 말하는 B2B 영업은 가맹점주가 아니라 최종소비자가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직접 최종소비자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서비스까지 생각하여줄 수 있는 인재를 원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B2C의 경우 총판법인 ( 하이프라자, 롯데마트 등)이 있기에 영업관리 업무에 가깝습니다!
물론 유통 채널들과 판촉에 대한 고민을 같이하는경우가 있긴하지만 그보다는 관리조직에 가깝습니다.

전자제품 유통에 있어서 트렌드는
Total Solution일 것 같습니다.

냉장고만 파는것이 아니고 그 이후에 필요한 제품이 있는지 혹은 어떠한 서비스가 필요한 것인지 등입니다.
특히 유통쪽으로 가정을 한다면 점점 더 유통채널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많습니다.

즉, 채널을 거치지않고 직접 판매역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