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G전자 / R&D_기구

Q. LG전자 B2B사업부 기구 직무에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졸업한 기계공학 학생입니다.
이번에 LG전자 채용 분야 중 B2B사업부 R&D_기구에 관심이 갔고, 그에 대해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LG전자는 채용을 사업부별로 나눠서 하더라구요
근데 결국 직무가 같으면(예를 들면 같은 기구, HW 등) 결국 하는 일이 역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하는 일은 같되, 사업부별로 다루는 제품이 다른 것 뿐인가요, 아니면 더 다른 점이 있을까요?

다른 점이 있다면, B2B사업부의 기구직무에서는 다른 사업부와 비교하여 더 중점적으로 가져야 할 포인트나 역량은 무엇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멘토53366
코대리 ∙ 채택률 63% ∙
회사
일치

B2B는 business to business 의 약어로 일반 소비자 대상이 아닌 기업 대상으로 사업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구는 해석팀도 있지만 주로 제품 설계, 부품 레이아웃 배치, 양산 이슈 대응을 합니다.


크리퍼
코상무 ∙ 채택률 84%

LG 전자의 모든 기구설계 직무는 동일합니다. 기구설계에 필요한 기초 역량이 있으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가전 사업부는 기구설계에서는 UG 프로그램, CAE 해석 (Mold Flow 해석) tool 을 사용합니다. 모바일 사업부 기구설계는 Pro-E 프로그램, CAE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기구설계 직무에서 기존 학부에서 배운 설계 능력이 있으시면 강조는 되겠지만, 입사를 하게 되시면 신입사원 교육 프로그램에 2주 교육 코스가 들어 있어서 대부분 기초 능력은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과제와 시험을 보기 때문에 모두 새벽까지 열심히 하게 되어 실력이 쌓이게 됩니다.)
거기에 금상첨화는 2D 도면을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이 있으면 최고입니다. 즉, 기계설계 책에 나오닌 도면 작성방법, 공차 기입, 주석 기입, 주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지식 등 도면 해석 능력이 있으면 정말 최고 입니다.
3D 도면을 그려도 2D 도면을 그리지 못하거나, 해석을 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초가 있으시면 자소서나 면접시 어필하시면 좋습니다.
화이팅 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