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바이오팜 / 전략기획

Q. '바이오 학과 졸업& 전략컨 인턴경험' Merit 존재 여부

바이오팜에서도 전략/기획 직무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바이오 학과에서 학점은 3,9/4.5이고 경영관련 scholarship은 없지만 교내 학회, 프로젝트 인턴, 6개월 정도의 전략컨 인턴 정도 했습니다.
여타 다른 상경계열 학생들보다 메리트가 있을까요?
그리고, 직무 관련 detail 설명, 관련 직무 TO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연봉도 궁금합니다!

답변 3
a
antena_c
코부장 ∙ 채택률 76%

확실히 전공이 메리트는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전략기획이라면 전공 외 지원직무 실무경험여부도 중요합니다. 기획관련 인턴활동을 해두셨으니 지원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을 것 같네요. 개인적 견해로는 어느 직무든 기획쪽이 요즘 각광받고 있는듯 합니다. 연봉도 다른 직무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구요.


고올든아워
코이사 ∙ 채택률 85%

전략기획의 경우 팀 자체가 대규모의 팀이 아닌 이상 TO는 1~2명 수준이라 생각이 됩니다.
대부분의 회사가 신입사원을 전략기획팀으로 잘 데려오지도 않구요. 그만큼 산업에 대한 이해 / 회사의 비전과 미션에 대한 이해
앞으로 회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이 팀에 도움이 되는 인원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겠죠.

제 생각에는 다른 상경계열 학생들보다 메리트가 있다기 보다는, 본인이 학회 / 프로젝트 / 전략컨 인턴을 얼마나 자소서에 충실히 쓰고 어필하느냐에 달린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어쨌든 본인이 학부 수준에서 공부를 주로 한 것은 바이오의공학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얼마나 경험으로 채웠다는 것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으리라 보여지네요.


채택
캡슐세럼
코상무 ∙ 채택률 97%

지금 바이오팜뿐만이 아니라 삼바 로직스, 삼바 에피스, 셀트리온 등에도 동일한 질문을 올리신 걸 보니
전공인 바이오를 살리되, 연구나 생산 쪽이 아닌 경영/전략 쪽으로 입사하고 싶으신 것 같아요.

TO자체는 윗 멘토님 말 대로 1자리수... (1자리수라고 하지만 9명이 아닌 1~2명일 공산이 훨씬 큽니다.)
그나마 바이오팜의 경우 이번에 주식 대박난 사람들이 많이 퇴사해서 TO가 약간 더 있을 확률이 있고요.

상경계열이 당연히 전략, 프로젝트, 기획력 부분에서 더 어필할 수도 있지만
본인이 컨설팅펌 인턴을 하셨고, 학회나 플젝을 이끌었던 경험이 있다면 그 부분을 충분히 자소서에서 보여주시고,
그 전략을 짜는 데 있어 당연히 바이오 전공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업계 전반을 알아야 하고 용어 등에 박식하다, 따라서 나는 차별화된 인재다
라고 어필하시면 훨씬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건승을 빕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