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이노베이션 / 생산기술

Q. 석사출신 엔지니어가 장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화학공학과에서 이차전지를 연구한
석사 졸업생입니다.

배터리 연구개발분야에 맞춰서 상반기 지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sk innovation의 경우 배터리R&D를 뽑지않아서 소재생산엔지니어(이차전지운행)이 있길래 이쪽으로 지원을 하려고합니다.

석사를 졸업하시고 엔지니어 쪽으로 진출하신분들이 많이 있으신지. 또 업무는 어떻게 다른지, 저의 경우 장점이 충분히 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오버더SKY
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석유화학사 생산부서 근무중인 현직자입니다. 말씀해주신 소재생산의 경우 음극재, 양극재, 분리막 등 배터리 구성에 필요한 재료와 소재를 생산하는 직무가 될 것입니다. 그래서 생산 직무는 해당 공정에서 트러블슈팅, 공정 개선 등을 실제로 적용하는 업무를 맡게 됩니다. 그리고 석사 졸업하고 엔지니어가 되는 사람도 많구요
배터리를 석사로 전공하신 것은 양날의 검이 될 것입니다. 일단 배터리 관련 지식이 있으며, 재료를 사용해 본 것은 큰 이득이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엔지니어 직무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이 다른 단점이 될 것인데, 예를 들자면 생산현장이 생각보다 많이 힘든편인데 석사로서 이를 견딜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래서 엔지니어 직무의 실상에 대해 더 알아보시고 질문에 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멘토50226
코이사 ∙ 채택률 71%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학사출신 엔지니어 보다는 석사출신 엔지니어가 어느 회사를 가더라도 많습니다.
또한 설계에 관한 이해도 높기 때문에, 융복합적 인재라 판단하여 인사팀에서도 선호하고요.
도면을 개선하고 공정을 개선하는게 엔지니어의 본질이 아니고, 설계가 본질입니다.

또한 지원하시려는 해당 부서는, 심도있고 전문성이 기저에 있어야 회사 요구에 따른 설계 및 도면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석사졸업이 당연 우대 받습니다.
^^ 감사합니다.


메카닉 테디
코부장 ∙ 채택률 70%

안녕하세요. 보통 석사나 학사나 엔지니어링 부분은 많이 있습니다.
어느 회사를 가더라도..ㅎㅎ 석사, 박사분들 많으시구요..
그리고, 좀 더 깊게 아신다는 판단이 있기에 채용시 유리합니다. 참고로, 회사는 학력으로 업무를 많이 나누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학사나 석사나 업무는 달라지지 않지만, 경력을 인정해 주거나 돈을 더 준다거나 그런 대우는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