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sk케미칼 제약부문 강점 약점
안녕하세요,
sk케미칼 제약부문에서
타사대비 강점과 약점이 어떤 것이 잇을까요!?
구체적인예시도함께 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생각에는 신약이많타 / 바이오부문이 분사했다.. 이렇게막연히 드는데 현직자님의 구체적인 답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sk케미칼 제약부문에서
타사대비 강점과 약점이 어떤 것이 잇을까요!?
구체적인예시도함께 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생각에는 신약이많타 / 바이오부문이 분사했다.. 이렇게막연히 드는데 현직자님의 구체적인 답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케미칼 현직 MR입니다.
SK케미칼은 주력하는 품목이 근골격계 위주 약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이 조인스이죠.
조인스의 경우 얼마 전 누적 매출액 4천억원을 돌파한 메이저 약물이며 한해 약 3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효자 품목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조인스 뿐만 아니라 통풍치료제 페브릭이나 릴리와 코마케팅을 진행중인 심발타, 포스테오 등 정형외과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영업력 또한 타 회사에 비해 높게 나타납니다.
반면, 제약회사의 기본이 되는 만성질환에 대한 파이프라인이나 제품력이 아직은 약합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순환기계 쪽은 아직까지 SK케미칼에서 나아가야할 길이 아직은 멀다고 봅니다.
만성질환 약물 시장의 경우, 굵직한 국내 제약회사들이 시장을 많이 장악하고 있고, 환자들이 약물 변경에 대한 강한 컴플레인이나 반감, 약가에 대한 민감도 등이 반영되어 있어 시장을 가져오기가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최근에 코스카EX를 필두로 SK케미칼의 방향성이 만성질환시장쪽으로 넘어가는 추세에 있습니다. 고혈압 약물, 치매치료제, 항혈소판제인 리넥신CR등 지금 SK케미칼은 순환기계, 내분비계 약물 등의 만성질환 약물로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있습니다.
그외에도 강점의 경우에는 오리지날 약물이 많이 있는 편이고, 외국계제약회사와 다양한 코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 합리적인 보상제도, 수평적인 기업문화 등이 있습니다.
20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