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SK하이닉스 양기/PE/품질보증
1. [양산기술 P&T]와 [양산기술] 직무는 후공정이냐 앞공정이냐 차이일뿐 하는 일은 똑같나요?
2. [PE]와 [품질보증] 직무 둘 다 test하고 평가하며 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 같은데, 둘의 구체적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 [PE]에서 공정 개선, 수율 개선도 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4. PE에 신소재공학과가 있나요? 어떤 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까요?
1. [양산기술 P&T]와 [양산기술] 직무는 후공정이냐 앞공정이냐 차이일뿐 하는 일은 똑같나요?
2. [PE]와 [품질보증] 직무 둘 다 test하고 평가하며 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 같은데, 둘의 구체적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 [PE]에서 공정 개선, 수율 개선도 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4. PE에 신소재공학과가 있나요? 어떤 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까요?
2. [PE]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반면 [품질보증]은 생산된 반도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PE]는 주로 공정 개선에 집중하고, [품질보증]은 제품 품질 관리에 집중합니다.
3. [PE]에서는 공정 개선을 통해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율 개선을 통해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PE에는 신소재공학과와 같은 전공을 가진 직원들이 많이 있습니다. 신소재공학과는 신기술과 신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반도체 생산에 있어서 새로운 재료나 공정을 개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에서는 신소재공학과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공정을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202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