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하이닉스 / 모든 직무

Q. SK하이닉스 양기/PE/품질보증

1. [양산기술 P&T]와 [양산기술] 직무는 후공정이냐 앞공정이냐 차이일뿐 하는 일은 똑같나요?

2. [PE]와 [품질보증] 직무 둘 다 test하고 평가하며 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 같은데, 둘의 구체적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 [PE]에서 공정 개선, 수율 개선도 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4. PE에 신소재공학과가 있나요? 어떤 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양산기술 P&T]와 [양산기술] 직무는 모두 반도체 생산의 전체 공정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후공정과 앞공정의 차이는 후공정은 반도체의 최종 제조 단계를 말하고, 앞공정은 반도체의 초기 생산 단계를 말합니다. 하지만 두 직무는 똑같은 공정 개선과 생산 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2. [PE]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반면 [품질보증]은 생산된 반도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PE]는 주로 공정 개선에 집중하고, [품질보증]은 제품 품질 관리에 집중합니다.

3. [PE]에서는 공정 개선을 통해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율 개선을 통해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PE에는 신소재공학과와 같은 전공을 가진 직원들이 많이 있습니다. 신소재공학과는 신기술과 신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반도체 생산에 있어서 새로운 재료나 공정을 개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에서는 신소재공학과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공정을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일치

전공정 후공정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P&T는 Test 와 패키징을 합친 조직으로 공정뿐 아닌 테스트 조건 유지 및 장비보수도 같이 진행합니다. 그렇기 땨문에 공정의 차이만 있다라고 얘기하긴 어렵습니다.
품질보증은 말그대로 품질 관점에서 접근을 합니다. 고객사로 나가기 전 자사 제품의 품질의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고객사를 직접 대응하는 부서입니다. PE는 제품을 개발할 때 제품의 소자적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번석하고 피드백읗 내는 조직입니다. 대응하는 부서가 다르고 하는일도 차이가 있습니다.
PE에서 공정 개선 및 수율 개선 관련 업무도 진행할 수 있으나, 공정 및 수율 개선 업무는 다른 조직에서도 같이 담당합니다.참고로 신소재공학은 반도체 직무 어느곳에도 지원이 가능한 전공입니다. 단지 전공지식 외적으로도 다양한 경험 및 스펙을 쌓으시는게 좋습니다.



댓글 0
고구마왕국
2024.03.23
ㅠㅠ 너무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1. 보통 양산기술 직무에서 교대 근무를 하는데 P&T에서도 마찬가지인가요?
2. 공정 및 수율 개선을 담당하는 부서가 따로 있진 않고, 모든 부서에서 하는 건가요?
3. 삼성전자에선 공정 및 수율 개선을 목표로 공정설계나 공정기술을 고려했었는데, 하이닉스에서 이와 제일 근접한 직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답글 말고 따로 답변 다실 수 있다면 또 채택하겠습니다..!
채택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
회사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1. 양산기술 p&t는 범핑 기술이나 폴리머 등 선행패키지개발과 test업무를 담당하는 곳이고 양산기술은 단위공정, 인라인 내 장비 엔지니어 업무를 수행하는 곳입니다.

3. 네 PE에서 불량분석을 통한 수율개선 품질개선 업무를 수행합니다.

4. 전자과 신소재공학과 등 다양학 학과가 있습니다



댓글 0
고구마왕국
2024.03.23
ㅠㅠ 궁금한 점이 완전 해결됐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