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하이닉스 / 반도체설계

Q. 반도체 직무 선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멘토님들.
반도체 직무 선택에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직무와 연관되는 활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HSPICE, Modelsim, Design Vision, verilog, vivado, FPGA 활용 설계 경험
2. 메모리/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기업 교육 활동
(여기에서 DC 테스트, function 테스트 코드 작성부터 실습까지 했고 오실로스코프 사용 실습도 했습니다.)

반도체 관련 실습을 다양하게 했는데, 솔직히 어떤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지 모르겠고, 또 제 경험을 어떤 직무에 갔을 때 도움이 되는지 JD를 봐도 와닿지 않아 너무 어렵습니다.

"설계, Solution 설계, PE, 양산P&T" 중 어떤 직무가 좋을지 자세하게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릴 것 같아요.
도와주세요!!!!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안녕하세요. 반도체 직무 선택에 대해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제가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말씀드리자면, 설계, Solution 설계, PE, 양산P&T 직무는 모두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직무들입니다. 따라서 어떤 직무를 선택하더라도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입니다.

1. 설계 직무는 기술력이 중요한 직무로, HSPICE, Modelsim, Design Vision, verilog, vivado, FPGA 등의 경험이 많이 필요합니다. 설계 직무는 반도체 제품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기술력이 뛰어나고 창의력이 필요한 직무입니다.

2. Solution 설계 직무는 반도체 제품의 시스템 설계에 관련된 직무로,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융합하여 최적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술에 대한 이해와 솔루션 설계 능력이 필요한 직무입니다.

3. PE 직무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라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따라서 문제 해결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한 직무입니다.

4. 양산P&T 직무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해결하고, 생산 라인을 관리하며,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따라서 문제 해결 능력과 계획 능력이 중요한 직무입니다.

위의 직무들은 모두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어떤 직무를 선택하더라도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직무의 세부 역할과 필요한 역량을 자세히 살펴보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직무 선택에 있어서는 JD만 보고 결정하는 것보다는 해당 직무를 담당하는 분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더욱 자세하게 기술하여 어떤 직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직무 선택은 자신의 능력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저희 센터에서도 반도체 산업에 대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참여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모든 직무를 다 조금씩 경험하셨네요
그래서 고르기가 쉽지 않니요
설계라기에 회로가 애매하고 pe라기엔 테스팅이 애매합니다.
저는 양기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직무
일치

경험을 보면 DRAM이나 NAND설계가 가장 잘 맞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SPICE 및 Verilog 경험으로 설계직무에 맞게 자소서를 써보사면 좋을듯 합니다.


엔지니어멘토
코전무 ∙ 채택률 83%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정말 다양하게 해주셨는데요.
이정도면 솔직히 그냥 원하시는 분야를 골라서 지원하시는게 맞는것같습니다.
다만 합격 목적으로는 양산 P&T쪽이 조금더 확률은 높을거라 생각합니다.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직무
일치

다양한 직군과 관련된 활동을 하셨는데, 아무래도 눈에 띄는선 HSPICE, Verilog와 같은 설계 경험입니다. 해당 경험을 토대로 설계 직무 지원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외에 테스트 관련 경험이 았다면 PE직무도 잘 맞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제품의 테스트 조건을 최적화하는 업무 특성상 설계적인 지식도 어느정도 받쳐줘야 업무할 때 유리하기 때믄입니다.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
회사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중요한 것은 심사관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어쩌다가 반도체를 알게 되었고, 그 흥미를 위해 어떤 경험을 쌓고자 했으며, 과정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어떤 역량을 쌓았는지, 그리고 엔지니어로서 목표와 적성 흥미를 살리기 위해 이 회사 이 직무에 왔음을 어필해야합니다.

저의 경우엔 자동차 프로젝트를 하며 반도체 소자를 가지고 전자부품을 만든 경험을 어필했는데요.

정확히 연구와 직무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엔지니어로서 진지함을 보여줄 수만 있다면 어느 직무든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 과정 중에서 뭘 배우고 느꼈고 엔지니어로서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는지 적극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
회사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경험은 회로쪽인 것 같습니다.
설계직무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