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하이닉스 / 반도체설계

Q. SK 하이닉스 반도체 직무 설명

안녕하세요.
SK 직무 기술서에 Test가 두 가지가 있는데 수행하는 직무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Product Engineering
: 최고의 특성 및 품질을 가지는 Cost Effective한 완제품 개발, Test Solution 확보를 통한 특성 및 수율 개선 등 제품의 경쟁력과 완성도 향상

양산기술(P&T)
: 개발 완료된 제품의 최고의 품질을 갖추어 생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생산 공정 구현, Wafer Level Package(HBM, 3DS) 공정 별 품질/수율 개선 및 안정화, 장비 성능 향상, 소재/원부자재 품질 개선 및 국산화

추가로, 반도체 용이화 설계나 EDA Tool 사용과 더 연관된 직무가 무엇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는 반도체 제품의 기능 및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Tool을 사용하여 회로 설계, 레이아웃 등을 수행합니다. 또한, 이들은 회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품의 동작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와 관련된 직무로는 설계 엔지니어, 시뮬레이션 엔지니어, 레이아웃 엔지니어 등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pe는 평가분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품을 평가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분석이 목적이고
양기는 공정단에서 수율을 위해 레시피 관련하여 업무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엔지니어멘토
코전무 ∙ 채택률 83%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둘은 성격이 상다잏 좀 다른부분이 있는데요
양산기술 P&T가 하는일은 전공정을 마친 Chip Test부터해서 Package하는 과정까지의 업무를 다루고 있습니다. 크게는 한 부서로 되어있으나 내부에서는 평가쪽과 Package 공정쪽으로 직무는 갈리게 됩니다.
Product Engineering은 공정적인부분이 빠진 상태에서 최종적은 제품관점에서의 개발을 의미합니다. 즉 어떻게 제품을 만들어서 Package가 되어야 할지를 생각하고 그걸 평가하는 개념이 됩니다.


로우닉스
코상무 ∙ 채택률 75% ∙
회사
일치

1. 마지막 질문에 대해 먼저 답변드리면, PE가 더 연관성이 높습니다.

2. PE는 개발 단에 좀 더 가깝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개발 시 소자의 특성을 잘 검증할 수 있는 test 방법을 확보해서 특성을 최적화하는 거구요.
양산기술 피앤티는 우선 세부 공정 별로 팀이 나누어지고 그 팀들 중 하나에 속하게 됩니다. 그리고 개발이 끝나고 양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담당하고 있는 공정에 문제가 생기면 해결하는 일을 합니다.


채택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직무
일치

PE는 제품의 특성을 테스트하는 조직으로 보통 제품을 개발할 때 소자적 특성을 최적화 하여 그 제품에 적합한 test조건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양산 P&T는 이름에서 나온대로 제품을 양산할 때 제품의 test 조건 및 장비를 유지 관리하며, 더 나아가 요즘 떠오르는 패키징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설계나 EDA Tool 사용과 연관된선 PE나 설계 파트가 연관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