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SK하이닉스 / 양산개발

Q. SK하이닉스 양산기술 자소서에 적어야 할 내용(전자전기)

전공 수업을 공정이 아니라 회로와 소자 위주로 들어서 공정 지식은 인터넷에서 이것저것 알아본 정도밖에 없습니다.
회로설계 경험은 학교 프로젝트나 외부 교육 등으로 좀 있지만 공정 관련 경험도 전무합니다.
어차피 입사하면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배운다고는 합니다만 신소재나 화공 전공자보다 불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경우 서류를 어떤 식으로 작성하는 게 유효한지, 또 현직자의 입장에서 저의 합격 가능성이 어느 정도 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아는 얕은 공정지식을 쓰고, 회로와 소자 지식이 있는 공정 엔지니어가 되겠다고 역량을 강조하는 걸론 불충분한 것 같습니다...

설계가 아닌 양기에 지원하는 이유는 TO를 고려한 합격 가능성 때문입니다.

답변 4
채택
노학도
코부장 ∙ 채택률 88%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저는 학부로 입사해서 10년 넘게 SK하이닉스 회로설계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양산기술 엔지니어 분들과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협업할 때가 있는데요.
말씀하신데로 입사하면 관련 업무를 다시 배웁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회로 전공보다는 신소재나 화공이 더 금방 적응하겠지만, 사실 큰 차이 없습니다. ^^
정말로 엔지니어 개개인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더라고요.

그래도 뭔가 현실적인 제안을 드리자면...
일단 제가 면접관이라면 전공은 회로와 소자 위주인데 왜 양산/기술을 지원했는지 물어볼 것 같습니다. 당연히 TO가 많아서 올 거라는거 압니다.
하지만 다른 답변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회로와 소자 지식이 있는 공정 엔지니어... 엄청 메리트 있는데, 사실 현업에서도 어려운 부분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죄송하지만 학부 지식으로는 어필이 안될것 같습니다.

차라리 소자쪽으로 지원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설계는 TO가 작지만 소자는 나름 많고, 소자 엔지니어에게도 회로 지식 필요하거든요.
그래도 양산기술로 지원하시겠다면 회로/소자 공부를 하시면서 오히려 공정에 더 많은 관심이 생겼고,
특히 8대 공정 중 특정 공정(하나를 선정하세요)에 관심이 생겨서 이쪽을 지원하게됐다...라는 전략이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팅하세요~


채택
h
hongjmin
코부사장 ∙ 채택률 75%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전자 전기 전공이시면 제 생각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으로 실전에서 쓰면 얼마나 쓸수 있을까요? 기본지식 바탕으로 회사와서 다시 교육 받습니다. 공정 지식이 없더라고 회사 와서 배우시면 됩니다. 그리고 TO고려한 직무 선택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나중에 적성에 안맞아서 퇴사하시는 분들 여럿 봤습니다. 신중하게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채택
일레크
코이사 ∙ 채택률 69%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코멘토 현직자입니다.

전자전기공학과가 신소재나 화공 전공자보다 불리하다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각자의 학과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전기전자 관련 학과 출신들을 많이 채용하는 것도 그 이유입니다.

학부 수업에서 수강하셨던 공정 관련 수업과 실습 위주로 자소서 작성 권장드립니다.


채택
생산왕
코부장 ∙ 채택률 40% ∙
회사 학교
일치

본인이 알고 있는 반도체 관련 수강과목이나 경험이 있다면 적어보시고, 연관이 없더라도 프로젝트 경험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한 경험들로도 충분히 어필 가능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