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삼성전자 MX사업부 해외영업 직무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지원을 위하여 MX 해외영업 JD를 살펴보던 중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지역별 온라인 채널 Pure player'가 오프라인 판매 없이 온라인에서만 제품을 판매하는 방법을 지칭하는 것이 맞을까요?

2. Pure player 전략을 사용하는 국가나 제품군이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3. 사업부 내에서 평가하는 아프리카 시장의 중요도가 궁금합니다. 현재 중국 트랜션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M/S 차이가 점점 벌어지는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아프리카 시장에서 점유율을 되찾는 것이 비용 대비 수익이 나는 전략이라고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

4. 인도, 동남아 외에 사업부에서 주목하는 떠오르는 스마트폰 시장이 있을까요?

작은 정보라도 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
인기 사례
Q. 삼성전자 DX 생기연(생산기술연구소) 기구개발 직무 관련 질문입니다
1. DX 생기연 기구개발의 주 아이템 직무소개 상으로는 몰드, 지그, 매니퓰레이터, 설비인데 제어/알고리즘 위주인지 혹은 외장 및 HW 위주(e.g 내구성, 열효율, 강도)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직무소개 상의 기타 부가 장치가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액츄에이터, 소형AC모터, 하네스 배선 같은 것만 예상됩니다. 외장은 이미 설계가 되었고 센싱, 제어 위주 이슈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서 그렇습니다 2. 어필해야하는 역량 현재 엔진설계 직무에 재직중이나, 엔진 시동 모터, PHEV 저전압 컨버터 개발 업무로 기구개발과는 거리가 멉니다. 다만, 학부생 시절 설계 경진대회, CAD, CAE(카티아, 인벤터, 앤시스, 아바쿠스) 및 3D 프린터 경험이 있는데 이 경험을 어필하는 방향이 나은지 궁금합니다. 이외 어떤 역량을 어필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3. 기구학, 진동학 미수강 관련 원전공은 기계과고, 전자과를 복수전공했습니다. 기구학, 진동학 수강 여부가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Q. 삼성전자 DS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_안전보건 vs DX Global EHS실_환경안전
환경안전을 전공하였는데 두 직무의 소개서를 봤을 때, DS의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_안전보건의 경우 환경 관련 업무에 대해서는 거의 적혀있지 않아서 혹시 환경 관련으로 석사를 졸업했을 경우 DX의 Global EHS실_환경안전으로 지원하는게 유리할까요?ㅜㅜ

Q. 삼전 ds부문 시스템 lsi sw직군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전자공학과 3학년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제가 임베디드 sw 분야로의 취직을 하고 싶어 관련 소프트웨어 과목들도 수강을 한 상태입니다. (C++ 이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마이크로 프로세서,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 arm어셈블리실습,..etc) 그리고 제 본 전공을 최대한 살리고 싶어 제 세부전공을 그나마 소프트웨어적 교차점이 있는 통신 분야 전공 과목들을 이수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lsi 사업부가 모뎀도 제작하는거로 알고 있는데 lsi 사업부의 sw직군에서 제가 학부 때 공부한 통신 이론들이(rf,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등) sw직군에서 사용이 될 지 조금 걱정이 됩니다. 만약 사용이 안되거나 비중이 적다면 차라리 신호처리 공부보다 코테나 자료구조 공부를 더 해서 sw역량을 키우는게 맞을까요?? 현재는 신호처리 관련 프로젝트를 추후 하고 싶어서 dsp를 c로 구현해보는 인강과 stm보드로 dsp 실습해보는 인강을 듣고 있는데 방향성이 맞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