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소서 역량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이 어떤지 봐주세요.
'유연성'
'꼼꼼함'은 '유연성'과 만날 때 더욱 빛을 발합니다. 감사 업무는 팀원과 함께하는 것이기에, 꼼꼼함을 팀원에게 관철하는 동시에 팀원의 의견을 수용하는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감사 서비스 제공자로서 고객 만족을 위해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철학자들의 이론을 공부하고 학우들과 토론하면서, 법 학회 활동을 하면서, 파티 동아리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유연성을 기를 수 있었습니다. 법 학회 발표 준비에서 직장 생활로 인해 참여가 어려운 팀원으로 인해 팀원 간 불화가 있었으나, 참여율이 높은 팀원에게 익숙한 발표 주제를 선정한다고 양해를 구하고 발표 날 참여할 수 없는 팀원에게 ppt 역할을 배분하여 갈등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을 높였습니다.
법 학회 사례 부분이 유연성 역량과 잘 부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유연성과 관련된 자세한 사례가 딱히 생각이 나지 않아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네요.
현재 사례 내용이 괜찮나요?? 감사드립니다.
Q. 산업공학과 직무 고민
산업공학과 학생은 산업군이 아닌 직무를 먼저 선정하면 좋다 라는 말씀을 자주 들었습니다
1. 그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2. 산업군에 대한 선정 및 공부는 필요없다 가 아니라 직무를 먼저 선정한 후에, 산업군을 정하라는 의미의신가요?
3. 산업공학과 학생으로서 직무를 정할거면, 생산관리랑 품질관리 중에 반드시 골라야 하는 순간이 오는데, “품질 vs 생산 고민하는 것 만큼 멍청한 질문이 없다 의미없는 고민이다” 이런 말을 종종 들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 아마 그분께선 둘 다 거기서 거기고, 둘 다 교집합으로 준비가 되는데, 뭘 고민하고 있냐! 라고 하시는 것 같은데, 정작 알아보면 그게 아니더라고요,, 품질은 품경기 , 생관은 cpim 자격증부터가 달라서 시작점이 다른데, 어떤 기준으로 판단을 내려 할 지가 궁금합니다.
Q. 화학공학과 지도교수님과 사전컨택으로 면담을 해서 합의를 보기만 하면요..
저의 수학 실력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이고
학부 학점은행제 인문계를 나왔다고 가정하면요..
사전컨택을 통해서 공대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
화학공학과 지도교수님과 사전컨택으로 면담을
해서 합의를 보기만 하면 최소한
지방권 공대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 화학공학과에 들어갈수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