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30살 중고신입

고등학교 문과를 나와서
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중퇴를하였습니다.
대기업 보안팀으로 6년
서비스업으로 1년 정도 근무 하였습니다.

현재 업무는
인프라 구축, 전산 반출/입 및 신입사원 OJT 담당으로 재직중이며,
OA 활용은 우수한 편이고, AUTO CAD, INVENTOR, ERP 등 프로그램 운용 가능합니다.

보안 경력이라 크게 메리트가 없는 경력에
문과에 중퇴에 기술도 없어 고민이 많이됩니다.
인사 쪽으로 원하였으나, 학벌이나 경력에 부딪혀 내려놓은 상태입니다.
형편이 여유로운 편은 아니라 대학을 가는것도 쉽지는 않습니다.

이직이 필요한 시점, 뭐 부터 해야할지 갈피를 못잡는 상황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
인기 사례
Q. 질문) 본인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단어를 쓰고, 그 이유를 본인의 경험 및 가치관 등이 반영되도록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십시오.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회적 카멜레온] 상대방의 색깔에 맞춰서 옷을 입으면 원활한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대학교 때 배웠습니다. 미국에서 대학 생활을 보내면서 다문화(multi-cultural)의 중요성을 배우고 “if I was in your shoes”라는 표현은 “sympathy”가 아닌 “empathy”가 더 적합하다는 것으로 해석하여 대화의 방식을 “연민”이 아닌 “공감”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이슬람 종교를 믿는 친구와 같이 모스크 사원을 가서 예배를 듣는 것부터 동성결혼이 합법인 캘리포니아주에서 LGBTQ 페스티벌을 참여했습니다. 남들이 지적할 수도 있지만 저는 향후 제가 만나는 클라이언트 또는 지인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카멜리온 능력 덕분에 사우디아라비아 교환학생에게 미국 문화를 쉽게 설명해주면서 캠퍼스 생활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조언을 공유했습니다.

Q. 기타공공기관 워라벨 어떤가요?
작은 진흥원, 협회, 조합 등등 이런 직원수 적은 공공기관은 워라벨이 대형 공공기관에 비해 어떤지 궁금해요 별 차이 없나요? 다들 대형 공공기관을 많이들 노리던데 대형이 많이 뽑아서 노리는건지 아니면 소형보다 워라벨이 더 좋아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Q. 인턴 지원과 설계 경험 중 선택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자전기 4-1 재학 중이고 디지털 회로 분야를 지망하는 학부생입니다. SoC 연구실에서 Verilog로 졸업작품을 진행하고 있고 현재 교수님께서 원한다면 졸업작품의 연장선으로 다른 과제를 주겠다 하셨습니다. 이 와중에 대학 사업 협력 기관의 관련 분야 인턴쉽 공고가 올라와서 과제와 인턴 지원 중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1. 디지털 회로 분야를 현재 대회나 설계 경험이 졸업작품과 전공수업 정도로 많지 않아 과제를 진행하면서 더 경험하는 게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2. 추가로 회로설계 분야의 학사, 석사 차이를 고려해도 대학원 관련하여 연구보다는 취직에 관심이 많다면 대학원보다 학사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