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삼성디스플레이 / 모든 직무

Q. 삼성sdi, sdc, 전자 인프라 직군 관련 질문

저는 현재 sdi, sdc, 전자의 인프라 직군을 희망하는 기계계열 전공학생입니다.
제 스펙은
학점 3.85, 토스(IH)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소방 안전관리자 1급

대외활동 :
1) 인프라 비관련 중소기업 인턴 (2개월)
-(pcb회로설계 회사에 필요한 제품 양산경험)

2) sdc내에서 1차 협력업체에 소속되어 hookup, util배관 제작 및 설비 현장경험 (4개월~5개월)
-(소방, 폐수, 가스배관 등등 여러 배관 체결업무 및 제작, 용접보조 등등)

직무교육 :
한국산업설비협회(플랜트 교육)-온라인 수강

이 정도이고
1) 여기서 인프라 직군은 더 필요할 스펙이나 갖추어야 할 내용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2) 또한, 관련 분야 기사가 많을수록 plus되는 경향의 직무라 그런데 현재 소방기사(기계) vs 산업안전기사 중에 어떤것을 취득해야 할까요?
3) 마지막으로 전공 자체는 로보틱스 계열인데 기계계열이라서 이것이 관련직무가 아니라고 태클이 들어올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인프라 직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엔지니어링 및 설계 역량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기계 공학 지식뿐만 아니라 구조 설계, 열 역학, 유체 역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인프라 관련된 기술 및 규제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교육 과정을 이수하거나 산업 현장에서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소방기사와 산업 안전기사 중에는 인프라 직군에 적합한 것은 산업 안전기사입니다. 인프라 설계 및 건설 현장에서는 안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산업 안전기사 자격증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전공 자체가 로보틱스 계열이지만 기계계열로 취득한 자격증과 경험은 인프라 직군에 무관하지 않습니다. 로보틱스 전공이라면 컴퓨터 공학이나 전기 전자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교육 과정을 이수하거나 산업 현장에서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열심히 공부하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인턴의 경험이 있기는 하시지만 중소기업에서 한 부분이 아쉽습니다. 보통 중견급 이상에 한 인턴이 제대로 된 인정을 받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턴이 필요하다 생각을 하며 산안기가 더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안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 0
스타루나
2024.03.17
현장경험 인턴은 중견급 시공업체인데 괜찮을까요? 또한 어학이나 추가로필요한 스펙들은 없어도 충분할려나요? 저정도면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네 인턴이 중견급이라면 어학도 평균수준이라서 저는 이제 본격적으로 취업시장에 뛰어들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