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공정설계

Q. 삼전DS 제조기술담당 공정기술과 공정설계 중에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하반기에 지원하려고하는 졸업예정 학사입니다.
제가 쌓은 경험들은 대단한 것들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습니다.

(1) "전력반도체에 이용되는 GaN-on-Si 기판에 대한 특허 분석"을 주제로 특허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수상 : 특허 문헌들을 읽으며, 동향 파악과 기술 흐름을 파악. 향후 SK실트론 R&D 과정에서 위협이 되는 특허들 조사 및 회피설계 제안
(2) 하이닉스 Hy-Po 수강 : 320시간 온라인 공정 교육
(3) 학부연구생 1년(반도체소자/재료) : Sputter를 활용한 Co(코발트)를 다양한 조건(증착 후 어닐링, 기판 온도)에서 증착하여, 비저항을 측정하고 나노미터 단위에서 비저항을 예측하는 파이썬 코딩 (FS-MS model 기반), 이후 전자재료학회에서 포스터 발표 수상
(4) 코멘토 부트캠프 : 대기업 반도체 공정설계 엔지니어 직무이해 및 실무 경험하기
(5) ADsP 취득
따라서 이 스펙들이 공정설계, 공정기술 어떤것에 가까운지알고싶어요ㅠ

답변 9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제공하신 경험을 바탕으로 공정설계와 공정기술 중 어느 분야에 더 적합한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공정설계: 이 분야는 제품의 제조 공정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귀하의 경험 중 하이닉스 Hy-Po 수강과 코멘토 부트캠프는 공정설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특허 분석 경험은 새로운 공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요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2. 공정기술: 이 분야는 실제 제조 공정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부 연구생 경험에서 Sputter를 활용한 연구는 공정기술과 관련이 깊습니다. 비저항 측정 및 예측은 실제 공정에서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결론적으로, 귀하의 경험은 공정설계와 공정기술 모두에 기여할 수 있지만, 특히 공정기술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정기술 분야에서의 경험이 더 강조되는 만큼, 이 분야에 지원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공정설계에 적합하다 생각이 됩니다. 1번, 2번, 3번의 경험은 역량수준을 보여주기에 좋은 경험이라 생각이 되며 4번과 5번은 역량향상을 위한 노력의 정도는 어필을 하기에 괜찮은 부분이라 생각을 합니다.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경험으로 봤을때 공정설계가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단위 공정에 대한 공부보다는 소자 및 공정을 함께 공부하시고 관련 경험도 많으셔서 공설쪽으로 지원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7%

안녕하세요멘티님

멘티님께서 작성해주신 경험은 공정기술보다는 공정설계에 더 가까운 것같습니다.
저라면 공정설계로 지원을 해볼 것 같습니다.

멘티님의취업에 좋은결과 있길 바랄게요.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4%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제 생각에는 공정관련 레시피변경과 유사한 연구를.진행하셔서 공정기술이 조금은 더 핏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물론 공설도 가능하나 개발실이.아닌 제조기술 공설이라도 소자개선경험 (tcad, 소자전압값조절, breakdown 전압 조절을 통한 소자개선, i cv커브 분석, 공정모형설계) 등 전체적으로 소자에 관한 롤이 있으신분들이 공설업무에 지원을 많이합니다.#! 그래도 소신지원해보면 좋은 결과가 잇을거라봅니다!


M
Memory Department
코이사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1) 특허 분석과 R&D 과정 경험은 공정설계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공정설계에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개발 시 기존의 기술 동향과 경쟁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경험은 설계 과정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Hy-Po 공정 교육은 공정기술 직무와 관련이 깊습니다. 이 교육은 반도체 공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공정기술 직무에서 실무적인 지식이 필요할 때 유리할 것입니다.

(3) 학부 연구생 경험에서의 반도체 소자 연구와 Python 코딩은 공정설계와 공정기술 모두에 관련이 있지만, 특히 공정설계에서는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 개선을 도출하는 데 큰 장점이 될 것입니다.

(4) 부트캠프와 직무 이해는 공정설계 직무를 위한 실무적인 이해와 경험을 쌓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실무 경험을 통해 공정설계의 세부적인 부분을 익혔다면, 공정설계 직무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5) ADsP 취득은 데이터 분석 능력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공정기술 직무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정 개선이나 문제 해결을 하는 데 유리합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공정설계에 가까운 경험이 많지만, 공정기술 직무에서도 유용할 수 있는 경험이 있습니다. 자신이 더 관심이 가고, 더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응원합니다~!


공장 노동자
코차장 ∙ 채택률 79%

스펙이라고 하신 것들이 반도체 취업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긴 하나, 결정적으로 설계에 큰 도움이 된다 할 만한 건 없는 것 같습니다.
지원자님 학점이 훨씬 중요하게 작용할 것 같아요


d
dooo_buu
코이사 ∙ 채택률 61% ∙
회사 산업
일치

공정 설계에 충분히 도움되는 경험들인 것 같습니다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바래요 ㅎㅎ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특허 회피설계, 학부연구생에서 소자 제작 및 특성 확인, 공정설계엔지니어 직무부트캠프 등을 통해 공정설계 쪽에 적합하다고 보여집니다.

공정기술 합격률을 높이려면 단위공정 최적화 경험이 있으면 좋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