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 에스원 / 시설관리

Q. 질문드립니다

현재 연고지에서 공무직을 하고 있습니다.
3~5년 차에 수도권내에서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공장은 몇 개가 없고 시설관리[에스원,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등으로 가는게 수도권내에서 일 하고 싶은 저에게는 가장 합리적인 거 같더군요.
[1]지방의 타 대기업 공장 이직 난이도와 수도권 대기업 직영 시설에 이직하는 난이도 중 어느쪽이 더 현실적이고 확률이 높은지, 이 두 가지의 이직처들에 이직하기 위해 준비할 자기개발은 무엇을 추천해주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현재 자격증은 에너지산기,공조산기, 설비보전기사가 있습니다.
[2]대기업 공장으로 이직한다면 최대 충청도 권까지 보고있으며 가고 싶은 기업은 하이닉스,하이트진로 등이 있습니다. 만약 공장으로 이직한다면 현재 연봉이 6천이라 했을때 몇 % 정도의 상승률을 기대할 수 있는지[3~5년차 기준], 에스원이나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에 이직했을때는 몇% 정도의 상승률을 기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지방의 타 대기업 공장과 수도권 대기업 직영 시설에 이직하는 난이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도권 대기업 직영 시설에 이직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고 확률이 높습니다. 수도권은 경제와 산업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이 있고, 공장 이외에도 다양한 직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직무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설비보전기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시다면 설비 관리와 관련된 공부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또한 업계 동향과 기술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새로운 기술을 익히는 것도 중요합니다.

[2] 대기업 공장으로 이직한다면 충청도 권이나 수도권 모두 가능하며, 기업의 입사 요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이닉스와 하이트진로 등 대기업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고 입사 요건도 엄격하기 때문에 경력과 자격증 뿐만 아니라 업무 경험과 기술력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직을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채용 공고를 자세히 살펴보고,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기업 공장으로 이직한다면 연봉 상승률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10% 이상의 상승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역량과 경력,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으로만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에스원이나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으로 이직한다면 상승률은 5% 정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 개인의 역량과 경력,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기준으로만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하이트진로 생산직 기준이 5년차 8~9천 정도됩니다.
수도권 직영보다 지방이 이직이 수월하고 현실적입니다.


한국공
코부장 ∙ 채택률 68%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답변드리도록하겠습니다.

1, 이직 난이도는 어떤 회사이냐에 따라 다를거같습니다. 자기개발은 따로 자격증보다는 이직하시려는 기업에대한 관심도가 중요할거같습니다.
2. 연봉은 현재 자신의 연봉의 10~20% Up됬을때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3~5%오르는거라면 현재회사에서 1년 더 다니면 그정도 오르니깐요.
3. 3~5년차는 능력에따라 다르겠지만 10%이상 상승률 기대합니다.


한국공
코부장 ∙ 채택률 68%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답변드리도록하겠습니다.

1, 이직 난이도는 어떤 회사이냐에 따라 다를거같습니다. 자기개발은 따로 자격증보다는 이직하시려는 기업에대한 관심도가 중요할거같습니다.
2. 연봉은 현재 자신의 연봉의 10~20% Up됬을때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3~5%오르는거라면 현재회사에서 1년 더 다니면 그정도 오르니깐요.
3. 3~5년차는 능력에따라 다르겠지만 10%이상 상승률 기대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