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 코오롱인더스트리 / 모든 직무

Q. 학사 연구개발직에서 1년차로 재직중인데, 이직방향을 어떤식으로 세워야할까요?

중소기업 고분자 연구개발직으로 재직중인 학사입니다. 학사로는 연구개발직에서 일반적으로 받아주지 않고, 적어도 석사분들이 많이 하셔서 이직을 하더라도 다른 직무로 가야할 것 같은데, 생산/ 품질에 어떻게 접근해야할까요..? 현재 어학과 화공기사만 있는데 이직을 위해서 어떤 걸 더 준비해야할까요? 품경기나 위산기를 추가로 취득하면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자소서에 기존 직무에 대해 어디까지 공개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내 보안은 유지하는 선에서 제 경험을 써야할 거 같은데,, 너무 어렵네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중소기업 고분자 연구개발직으로 이직하려면 먼저 생산과 품질 관리에 대한 기본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품질관리 관련 인증서를 취득하거나 생산과 품질 관리 관련 교육을 받아야합니다. 또한 자소서에는 기존 직무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경력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도됩니다. 또한 보안에 대해서는 기술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해도 됩니다. 이외에도 이직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항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직을 계획할 때 자신의 경력과 관심분야, 개발능력 등을 심도 있게 고려하고 적합한 이직 방향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멘토486
코이사 ∙ 채택률 53%

품질로 가시려면 품질경영기사 취득하시고 생산으로 가시는거면 고분자 재료 관련 자격증 취득하시기 바랍니다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5%

학사도 연구개발직에 많습니다.
굳이 아까운 경력을 버리시고 타직무로 가실 필요 없습니다. 가장 베스트는 현재 경력을 어떻게든 살리시는겁니다. 그리고 현재 경력에 대한 부분은 간단명료하게 해오신 과업 위주로 얼마든지 적으셔도 됩니다. 핵심적인 정보나 기술노출만 이뤄지지 않으면 영업비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호떡맏형
코차장 ∙ 채택률 78%

연구개발이 석사 이상만 필요한건 아닙니다. 석사, 박사 출신 연구원분들 입장에선 협소한 분야에 대해 딥 다이브 하신 것이기 때문에 선행연구개발과 후속 연구개발로 나누는 이유가 있는 것이죠. 즉, 학사생이라고 해서 연구개발로의 이직이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현재 하고 계신 회사, 직무에서 딥다이브를 하다보면 해당 분야에서만큼은 지원자님도 전문가가 되실 수 있고, 실제로도 학사 출신의 연구개발 전문가도 많고, 저희 회사 연구개발 임원분들도 학사생이 꽤 있습니다.

질문하신 요지는 학사 출신으로써의 연구개발 분야에서 벽을 느끼고 있으니, 직무 이동에 대해 고민이 된다라는 것인데, 해당 고민은 좀 더 현 직무에서 경험을 더 많이 해보고 고민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하지만 단 기간내에 해당 고민을 끝내신 것이라면, 품질으로의 직무 전환도 나쁘지 않습니다. 품질 분석 측면에서 보면 연구개발 출신들의 다양한 DOE 경험과 선행 단위의 직무 지식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품질 분석쪽으로 가시려면 해당 아이템에 대해 연구개발 단위에서 해박하게 파악하고 가셔야 합니다. 최소 5년동안은 어떻게 해서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떠안으시면서 선배들의 지식을 흡수하시고 본인 스스로도 스터디를 지속하셔야 합니다.

굳이 자격증을 따시겠다면 QC 관련 자격증을 추천 드립니다.


모든힘다해
코주임 ∙ 채택률 84%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정확한 배경을 알 수 없어 답변이 조심스러우나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학사 연구개발직으로 1년차에 '이직'이라 함은, 중고 신입으로 기업 간 수직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직이동'이란 동일한 직무로 기업의 Level을 높이는 행위를 의미하며, 직무가 다를 경우 이를 대체할 만한, 소위 말해 변명거리가 필요합니다.

제 판단에도 멘티님의 말씀대로 연구개발직보다는 생산, 품질로의 이직이 유리해보이며, 이를 위해선 화공 기사를 딴 이유 + 연구개발직으로 종사하며 생산, 품질과 협업한 경험을 녹여내면 유리할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 종사를 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자격증보다 더 귀한 이력을 하나 얻었다는 생각에 추가 자격증 획득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물론 빠르게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더할 나위 없겠죠.

연구개발직을 종사하며 생산, 품질과의 갈등, 그리고 그 갈등을 풀어낸 경험을 풀어쓰고, 본인이 생산이었더라면, 품질이었더라면 이런 식으로 대응을 했을 것 같음을 어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한 개인 성향에 대해 어필을 할 수 있는데,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보다는 현 공정에 대한 보완, 수율 증가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 등에 강점이 있음을 어필하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