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SW개발

Q. 현대자동차 SW 직무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년도 상반기 현대자동차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

컴공과 졸업해서 임베디드 SW를 주로 경험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인턴 뿐만 아니라 신입공채에도 SW 직무가 생겨서 직무 선정에 있어 고민이 됩니다.

신입 공채에 SW 직무는 빅데이터나 클라우드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로 기재되어 있던데

제가 경험한 임베디드 프로젝트나 취업 후 진로 또한 임베디드 분야로 선호하는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이번 SW 직무에 적합할지 고민입니다.

물론... 가능성이 높은쪽을 지원하겠지만 ㅠㅠ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이런 부분은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기에 지난번처럼 차라리

차량설계쪽으로 내볼까 싶습니다.

차량설계쪽에서 임베디드 SW 역량이 더 중요할 것이라 생각되는데, 큰 상관이 없을까요?
(혹은 차량설계나 평가 부분에서 SW 수요가 TO가 매우 적거나 그런가요..?ㅠㅠ)

답변 2
채택
s
sho59
코과장 ∙ 채택률 88%

직무적성을 가장 우선으로보는 요즘 추세에 따라 차량설계 쪽이 어울릴거 같습니다. 빅데이터나 클라우드의 경우 주로 석사를 그 분야로 선택해서 공부한 사람들이 많이 지원하기때문에 다소 경쟁력이 떨어질것 같습니다.
임베디드 경험을 잘 어필하신다면 건승할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휴면계정

위 멘토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빅데이터/클라우드는 다른 분야인 것 같고, 차량 설계 쪽 SW로 지원하시는 게 맞아 보입니다. 단순히 임베디드 경험 보다 차량용 네트웤에 대한 스터디도 좀 하시고 (CAN, MOST stack 등) 차량용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이뤄질지 감을 잡고 있으면 면접등에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 내용을 잘 모르신다면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업체의 홈페이지에 가시면 차량용 솔루션에 대한 훌륭한 설명서가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추가 자료를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AUTOSAR와 같은 규격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으면 좋겠구요. 최근엔 MBD (Model-based Development)로 가는 추세로 단순히 low level coding만 알고 있으면 안됩니다. 특히나 완성차 업계에서는 더 상위 레벨의 integration을 업무로 진행하니까요.

이 정도면 준비하시기엔 충분한 정보일 것 같네요.
건승을 빕니다!!



댓글 0
1
10열
2024.08.13
high level 이라면 어떤 걸 말씀하시는걸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