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G 화학 / 품질관리
Q.
직무 · LG 화학 / 품질관리
안녕하세요. 멘티님!
일단 엔솔에서는 스마트팩토리까지 전체 공정을 다 할 수 가 없어요.
믹싱, 조립, 활성화 공정에서 일부 프로세스는 로봇화가 잘 되어있지만.. 전체는 아니에요!
스마트팩토리에서는 센서,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데, 보통 조립 공정이 대부분 로봇화가 되어있어요.
이중, 품질직무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 이라고 생각되요! 생산된 제품의 불량률을 분석하고 불량률이 높은 부분을 파악하여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때 , 품질직무는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아요.
일단 전극,조립,활성화 부분에 대한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해주시는게 가장 중요하고 그 안에서 품질 직무로서 프로세스 표준화에 대한 부분을 강조해서 써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쉽게 말해서, 스마트팩토리 구축 안에서, 제품 공정에서의 품질을 담당해야 하는 부분을 구축단계에서도 이 부분에 기여하는 일을 수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전의 공정의 경우에는 각 공정 별, 중간품, 반제품 등을 각각 일일이 품질 검사를 통해, 이 품질의 이상 여부를 인력으로 해결해야 했다면, 스마트팩토리의 경우에는, 이러한 공정을 거치는 과정 안에서 바로 품질 검사가 진행이 된다는 점이 있겠습니다.
이러한 점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이 품질 검사가 원활히 되는지. 이상 여부 및 예외 상황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품질 관리 직무에서 직접적인 검사 확인을 통해, 오차율, 예외 여부등을 확인하는 일이 진행되겠습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기여하는 일은 아닙니다. 품질 직무는 생기 직무애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네, 귀하의 자소서에 나온 내용과 엔솔의 방향성은 완벽하게 부합합니다. 품질직무가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기여하는 일은 공정 관리 및 우연원인과 이상원인을 구분하는 일이 대부분입니다. 품질데이터를 수집하여 유관부서와 협업하고,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일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품질 검증과 검사 과정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가치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일도 맡아야 합니다.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