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주간 현직자와 제대로 전기 직무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현직자의 진짜 실무를 멘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합니다.
업무에 대한 1:1 피드백과 코칭이 매주 제공됩니다.
5주간 3회의 세션을 가지게 되며, 학업/현업과 병행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대기업에서 전기/계장, 제어설계를 10년 이상 수행하고 있는 멘토 Chris_Evans입니다.
최근 몇 년간 회사 기술전문가로 신입/경력직 면접에 참여하면서 취준생들이 실무에 대한 지식이 너무 부족하다는 점을 많이 깨달았습니다. 기업에서 인턴 경험이 있는 친구들이나 1년 이상 경력이 있는 중고 신입의 경우는 그나마 조금 나았지만, 인턴 경험도 없고, 학부 때 배웠던 지식 하나만으로 직무 면접 시 물어보는 질문에 명확히 답변을 못 하는 모습을 보니 조금 안타까웠습니다. 또한, 그렇게 힘들게 취업했어도 자기 업무가 적성이 맞지 않아 퇴사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그래서, 취업 전 전기/계장 관련 업무가 무엇인지 4개의 과제로 이루어진 미니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간접적으로 실무를 체험하고, 취업 면접 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이 직무부트캠프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학부 때 배우지 못했던 MCC(Motor Control Center) Relay 회로를 설계하고, 전기/계장설비의 PLC I/O를 산출 및 프로그래밍을 해보면서 엔지니어의 역할과 업무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저희 부서에 신입사원이 입사해서 처음부터 가르친다는 마음으로 5주간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시간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됩니다.
직무부트캠프에서 했던 경험과 배웠던 직무 전문 단어를 면접에서 활용하였더니 면접관들이 흥미를 보였고, 결국 최종 합격했어요.
남00님
수료증을 토대로 이력서에 직무 관련 경험으로 작성했고 임원 면접시 경험에 대한 질문에 직무 관련한 관심이 많다는 것으로 어필 했고,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어요.
강00님

현) 대기업 전기설비/계장, 제어설계 10년차 이상
-100억이상 다수의 프로젝트 전기부분 PM(Project Manager) 및 설계담당자
-해외플랜트 건설관련 전기부분 PM 경험(해외파견)
-사내 기술전문가 및 신입/경력직 기술면접관
-사내 승진시험(직무기술) 출제위원
-수배전/제어반 설계, PLC/DCS 설계, 계장설계, 공사설계 10년 이상

박 대리님. 조금 전 영업부서에서 A고객사 냉각탑(Cooling Tower) 신설 프로젝트가 계약이 되었다고 합니다. 프로젝트 기간은 6개월이고 우리 부서에서는 MCC 및 PLC H/W(Hardware), S/W(Software) 설계를 맡았습니다. 기계부서에서 펌프모터 사양을 포함한 전체 설비사양과 P&ID를 보내왔으며, 메일 포워딩하였으니 참고바랍니다.
먼저 사업 수행 계획을 실장님께 보고해야하니 프로젝트 공정표 및 시스템 구성도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A고객사 구매사양서 검토결과 기본적으로 현장에서 Local 운전이 가능해야 하며, 운전실에 원격으로 운전 및 감시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으니 이에 맞게 구성바랍니다.
또한, 냉각탑 수조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레벨계와 펌프 토출압력을 표시할 수 있는 압력계, 냉각수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량계를 반영해주시고, HMI(Human Machine Interface)에 표현해주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PLC는 현재 1개월 내에 납품이 가능한 Siemens S7-1500 모델을 적용해주시고, 운전방안은 설비 Maker에서 초안을 받기로 했으나 A고객사 담당자와 사전협의 후에 프로그래밍 및 화면설계를 수행하시기 바랍니다.
시공 2개월전에는 모든 도면을 제출하여 현장 설치공사에 문제가 없도록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과제는 전기/계장 엔지니어가 현업에서 실행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핵심적인 내용만 추출하여 완성하였습니다.
이 과제를 통해 멘티님들은 각 엔지니어링 단계별 프로젝트 매니저/전기/계장/제어설계 부분의 엔지니어가 하는 일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각자의 업무는 어떻게 수행되고 어떻게 협업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1) 1차 과제 : 프로젝트 스케줄 계획 및 시스템 구성도 작성
- 프로젝트의 공정표를 작성하고 전기 및 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작성하면서 프로젝트 업무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매니저/전기/계장/제어설계 담당자의 각자의 업무를 알 수 있습니다.
(2) 2차 과제 : MCC Panel의 구성 및 Relay를 이용한 제어회로 설계
- 현장 Local 운전의 개념을 이해하고 MCC 및 Local Operation Panel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인 Relay 제어회로의 구성을 알 수 있습니다.
(3) 3차 과제 : 레벨계, 압력계, 유량계 선정 방법 및 각 특징 알아보기
- 기본적인 계장설계 및 계장계기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계장계기 선정 시 유의할 점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4) 4차 과제 : PLC I/O 산출 및 주어진 운전방안에 따라 프로그래밍 해보기
- Digital 및 Analog I/O 산출 방법을 알 수 있으며, PLC Card 선정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PLC Ladder 프로그램 작성을 통해 Relay와 PLC 프로그램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알려드릴게요!
회사 규모/직군마다 조금씩은 틀리겠지만 T/O에 맞춰 채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사 후 전기/계장/제어시스템을 선택해서 일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즉, 입사 후 어떤 업무가 주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 경험은 입사 면접뿐만 아니라 입사 후 빠른 적응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전기기사/공사기사 자격증을 문제만 많이 풀어서 취득한 신입사원에게 Relay 구성회로를 보고 설명하라고 해도 거의 80% 이상이 Relay를 직접 본적도 없고 제대로 시퀀스를 설명하지도 못하는 게 요즘의 현실입니다.
전기 엔지니어라면 기본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의 제어회로 도면을 보면서 시퀀스 제어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계장 엔지니어라면 각각 계장계기를 선정하고 기본적인 유체역학, 열역학 등 기계, 화학적인 전공지식도 필요로 합니다. 특히, 석유화학, 제철소 등으로 지원한다면 계장 쪽의 지식은 필수입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모든 공장은 자동화로 움직이기 때문에 PLC 제어 엔지니어는 어디를 가나 대우를 받고 앞으로 스마트팩토리의 선행조건이라 전망도 밝습니다.
따라서, 해당 과제를 통해 각각의 업무는 어떻게 다른지 간적접으로 체험해보면서 업무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현업자 수준의 직무 이해도를 얻게됩니다.
- 직무담당자가 실제로 하는 일
- 직무담당자로 일하는 장, 단점과 요구 역량
- 주차 별 프로젝트 소개 및 선정 이유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알고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것은 중요합니다. 프로젝트 수행에 앞서 전반적인 일정을 수립해주세요.
1. 공정표 작성 시 건축/기계 등 타 공정의 일정을 보면서 전기, 계장, 시스템 부분의 설계/구매/시공/시운전 기간이 포함되어야 함
2. 시스템 구성도는 Power Line과 제어시스템 구성도(System configuration) 2가지로 표현
*참고자료 : 공정표 및 구성도 템플릿 제공 예정
*과제 결과물 : 주어진 ppt 템플릿에 3페이지 이내로 작성
MCC Panel과 LOP, LSB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관련 Power & Control 회로를 작성해주세요.
1. Pump구동용 MCC Power Line Diagram 작성(Y-△ 기동회로)
2. Pump구동용 MCC Control Sequence Diagram 및 Time Chart 작성(주어진 심볼을 이용하여 Relay 회로를 그리고 타임차트를 작성할 것)
*참고자료 : 참고할 만한 예시 도면 및 템플릿 제공 예정
*과제 결과물 : 주어진 ppt 템플릿에 3페이지 이내로 작성
계장 계기의 각각의 특징을 알고 현장에 맞는 계기를 선정해주세요.
1. 주어진 P&ID와 설비 조건에 맞는 레벨계, 압력계, 유량계를 선정하고 Instrument List 작성
2. 계장계기 설치도면(Hook-up Diagram)을 보고 잘못된 부분 찾기
*참고자료 : 설계에 필요한 자료 및 템플릿 제공 예정
*과제 결과물 : 주어진 excel 템플릿에 3페이지 이내로 작성
주어진 시스템 구성도와 P&ID를 보고 I/O 물량 및 PLC Card 수량을 산출하고, 운전 방안에 맞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주세요.
1. 운전 방안에 맞는 동작 Flow 작성 (Ready조건, Start/Stop, 비상 정지 포함)
2. PLC I/O 산정 및 Card 배치 (Siemens TIA Selection Tool 이용)
3. PLC Programming (Codesys 프로그램 이용)
*참고자료 : 관련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주소 및 설치/사용 방법 제공 예정
*과제 결과물 : 주어진 ppt 템플릿에 5페이지 이내로 작성
업무 요청서로 전달됩니다.




교과 외 활동 항목에 직무부트캠프 수료 경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채용지원 마감일과 캠프 종료일 차이로 수료증 활용이 어려운 경우, 수료예정증명서를 발급해드립니다.
* 3주차 이상 경과된 경우에 한하여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저와 5주간 함께 수행한 업무는 직무경험을 증명할 결과물이 됩니다.
*아래는 수강생들이 5주간 만든 실제 포트폴리오입니다.




이런 점이 좋습니다.
자소서와 면접 준비
업무 프로세스 이해
직무 적합도 판단

직무를 깊게 경험해 보실래요?
완전히 해결됩니다!
- 정가
- 300,000원
- 얼리버드 37% 할인
- - 111,000원
- 후기 이벤트 원고료
- - 20,000원
- 최대 할인 적용가
- 33,800원 /1주
- 12개월 무이자 할부
- 3,250원 /1주
신청자가 본인의 의사로 캠프참여를 포기한 경우
코멘토가 캠프진행을 할 수 없게 된 경우
캠프 시작전 취소(D-1일까지): 결제금액 전액 환불
1주차 시작일 ~ 2주차 시작일 D-1 : 결제금액의 2/3 환불
2주차 시작일 ~ 3주차 시작일 D-1: 결제금액의 1/2 환불
3주차 시작일 ~ 캠프 종료일: 환불 불가
1차 VOD강의 수강전 취소: 결제금액 전액 환불
1차 VOD 수강후 ~ 1차 과제 제출 전: 결제 금액의 2/3 환불
1차 과제 피드백 제공 후 ~ 2차 과제 제출 전: 결제금액의 1/2 환불
2차 과제 피드백 제공 후 ~ : 환불 불가
90일 만료 후 : 환불 불가
캠프 시작전 취소(D-2일까지): 쿠폰 재사용 가능
1주차 시작일 D-1 ~ 캠프 종료일: 쿠폰 재사용 불가
수강 취소 및 환불 의사를 표시하지 아니하고 무단결석 시는 교습시간으로 인지하며, 환불 요구시점 기준으로 반환합니다.
과제를 미제출하여 다음 번 캠프에 강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차수 교습시간은 경과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캠프 참여율 80% 이상시 (세션 참여 3회 + 업무 제출 4회 중 총 6회 이상), 교육 수료증이 발급됩니다.
주차 별 업무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은 분들은 개별 업무 피드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직무부트캠프는 현직자 리드멘토와 스터디메이트가 함께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 분위기를 흐리거나 불성실하게 행동하는 분이 있을 시 참여 제재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업무는 모두 개인업무로 진행되며, 업무 수행과 학업 및 취업준비의 병행이 가능합니다.(1주 평균 2~3시간 소요)
최소 인원 모집 미달 시 캠프 일정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