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대한항공, 아시아나 / 물류관리

Q. 대한항공 카고, 아시아나 카고 등 공항내 물류관련 진로

안녕하세요 항공물류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물류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항공 물류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공항내 물류터미널에서 일을 하고싶어 목표를 정하고자 어떤 업무들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4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자동차부품 조달을 하며 항공물류를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공항 내 물류터미널 일보다는 포워더(화물 전문 취급업체)의 기회가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포워더는 (판알피나, DHL 등) 은 모든 고객사로부터 물건을 공항내 창고로 하차시킨 다음, 스케쥴이 맞는 비행기를 부킹하여 창고에서 비행기로 물건을 가져다 주며 공항 작업자들이 물건을 싣습니다. 포워더는 모든 항공사를 골라쓸 수 있고 취급하는 화물량이 많지만, 항공사 물류는 그냥 포워더가 부킹한 물건 제대로 실리는지 연착되는지 정도만 확인하기 때문에 업무가 단순하고 영역도 좀 좁은 편입니다.


S
SCMan
코이사 ∙ 채택률 79%

반갑습니다. 예전 직장에서 휴대폰 사업부에서 항공물류관리팀에서 근무경험이 있습니다. 전공을 살려서 항공물류를 실제로 핸들링 해보고 싶다는 목표설정은 좋은 것 같습니다. 다만 항공물류 관련하여 제조회사의 수출 또는 수입을 경험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씀드리고 싶고 전자 사업군의 경우 즉 부피는 작지만 개당 물품가가 비싼 제품군의 제조 또는 판매법인에서의 직종을 찾아 보는 것도 잡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나 판매법인에서 물류관련업무를 할때 전체적인 물류 흐름과 소속된 회사가 전략적으로 펼치는 전체적인 물류 흐름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으므로 훨씬 폭넓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항공물류의 경우 Lead time이 짧고 긴급 수급 또는 성수기 시즌에 수출물량에 대한 스페이스 확보와 같은 업무를 통해 commuincation을 포워더와 통관 관련인들과 긴밀하게 운영하여야 하며 향후 전반적인 물류의 최적화를 이룰수 있는 SCM영역으로의 영역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Detail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좋지만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는 직종도 다른 방법일 수 있으니 고민 많이 하시어 선택하시면 좋은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
코차장 ∙ 채택률 68%

안녕하세요. 저도 자동차 부품 수출입 업무를 하면서 항공물류 쪽으로 많이 업무를 수행했었습니다. 아무래도 항공 전문 포워더들과 업무를 많이 할 경우가 많으며 항공의 경우는 보통 다 긴급한 화물 선적이므로 선적 부킹 및 스페이스 확보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한 일정 부킹 후에 하루 전이나 당일 아침까지는 화물이 입고가 되어야 하며 연휴 때등에는 스페이스 폭주로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준비하시는 일에 많은 도움이 되셨르면 합니다.


트리플더블
코부장 ∙ 채택률 55%

항공사에서의 물류관리 업무는 터미널 근무 보다는 공항 내 항공사별 물류의 이동에 관여하는 업무를 주로 맡습니다. 해외에서부터 받아오거나 국내에서 내/외로 이동하는 화물에 대해 항공기 스케줄에 맞춰, 항공기 내부에 최적화 시켜 싣는 업무를 맡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