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년에 29살이 되는 전기 관련 직무 취준생입니다..
제 상황은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컴활 1급, 한국사, 토익 835, 토스130 입니다.
최근 서류를 붙었던 하반기 모든 기업 불합격이 확정되면서
당장이라도 뭘 해야할 것 같은데
제 나이상 이것저것 시작해보기 두렵습니다.
제가 느낀 제 문제점은
직무 관련 경험이 없어
면접을가도 대부분 병풍을 서다 옵니다.
두번째는 명확히 목표로 하는 직무가 없다는 점입니다.
직무 관련 경험이 없어 전기 관련된 직무면 모두 지원했고
설비기술, 생산기술, 전기시공, 설계 등
어느 면접을 가서도 특출난 관심이나 경험 등 무언가를 말하지 못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가 지금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은 무엇일까요?
중소기업을 가서 경험을 쌓으라는데
이러한 저를 받아줄지도 의문이고 무엇보다도 어느 직무로 가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플랜트교육이나 PLC, CAD교육 등을 받고 싶은데
이러한 진로 상담을 해주는 곳도 있을까요?
1. 직무 목표 설정: 전기 관련 직무 중에서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비기술, 생산기술, 전기시공, 설계 등 다양한 분야 중에서 어떤 직무가 본인에게 더 매력적인지 고민해보십시오. 각 직무의 역할과 필요 역량을 조사하여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직무 관련 경험 쌓기: 중소기업에서 인턴십이나 계약직으로 경험을 쌓는 것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이력서에 기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면접에서도 구체적인 사례를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채용의 문턱이 낮을 수 있으므로 지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기술 교육 수강: 플랜트 교육, PLC, CAD 교육 등은 전기 관련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 교육 기관이나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며, 수강 후 자격증을 취득하면 이력서에 추가할 수 있는 강점이 됩니다.
4. 진로 상담: 진로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이나 커뮤니티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의 경력 개발 센터, 직업 상담소, 또는 관련 분야의 멘토와의 상담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진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경험을 쌓고, 명확한 직무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