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반도체 직무를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방 국립대급 4학년 2학기 졸업 예정인 학생입니다. 기계-전자과 3.92/4.5, 반도체 복전
반도체 직무를 아직도 정하지 못하였고, 저의 스펙이 어느정도로 괜찮은지, 안좋은 취업시장에 불안감만 쌓여 질문드립니다.
1.졸업 작품 : 1:1 사이즈의 수확로봇 하드웨어 및 그리퍼 설계. 제작 , 소규모 대회 수상
2. 반도체 대회 : 3d dram capacitor comsole 해석 응력완화 구조개선 아이디어 제안
3. 학부연구생: ai 활용 반도체 패키징 변형 측정 기술 개선 연구 -> 국제학회 포스터 발표 및 소규모 대회 수상
4. 반도체 공정 실습 2회, 반도체 설계 실습 1회 (들은지는 오래되어 기억은 가물가물합니다)
5. 수업: 방열판 설계 및 ai 활용 flir 열 측정에 따른 변형률 분포(2d dic) 예측 프로젝트 진행
어학은 시험만 본 690점이고 준비중입니다.
품질,설비 cs,공정/기구설계/전공정, 후공정 중 어느 직무가 맞을지 의견을 여쭙고싶습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제공된 정보에 따르면, 귀하의 학력과 경험은 반도체 분야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계-전자과에서의 높은 학점과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은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졸업 작품과 반도체 대회에서의 성과는 실무 능력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입니다.

어학 능력은 취업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재 준비 중인 점은 긍정적입니다.

직무 선택에 있어서는 각 분야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품질 관리 직무는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두며, 설비 CS는 고객 지원 및 설비 유지보수에 관련된 역할입니다. 공정/기구 설계는 설계 및 개발에 중점을 두고, 전공정 및 후공정은 생산 공정의 각 단계에 집중합니다.

귀하의 경험과 관심사에 따라, 공정/기구 설계나 품질 관리 직무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졸업 작품과 연구 경험이 설계 및 개발과 관련이 깊으므로, 이 분야에서의 진로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각 직무의 요구 사항과 본인의 흥미를 잘 비교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꿀먹다떨어진떡
코대리 ∙ 채택률 100%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기재하신 스펙만 본다면 졸업 작품의 경험을 살려서 기구설계 직무에 지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도체 대회, 학부연구생, 실습 활동 들은 소자회사(삼성, 하이닉스)의 공정 직무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외 품질, CS 등의 직무에는 다소 적합성이 떨어져 보입니다.
소자업체를 준비하신다면 어학 성적을 더 보완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추가로 질문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출근하기싫어
코부장 ∙ 채택률 80%

직무를 정하지 못했다는건 직무에 대해서 아직 파악이 정확히 안되었다는 말입니다.

아마 하고싶은 일보다는 확률이 높은 쪽을 궁금해하시는 것 같은데요. 확률이 높은 직무는 사실 아무도 모릅니다.

먼저 가고싶은 회사들의 예전 모집요강을 검색해보셔서 어떤 일들을 하는지 조사해보시고 해당 직무의 현직자 인터뷰나 글들도 조사해보세요. 그 다음에 어떤 업무를 하고싶은지를 판단해보시길 바랍니다. 사실 학사들은 어느 직무에 지원해도 상관없을 정도로 기초적인 지식만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에서 입사 교육을 별도로 시키는 거구요.


가마나다
코사원 ∙ 채택률 0%

전자공학, 반도체를 전공하셨다면 H/W, F/W와 같은 제어 관련 직무를 많이 지원합니다.
전공정이나 후공정의 경우 제어 관점에서는 어느 장비를 제어할 지에 대한 차이이기 때문에, 지원 폭을 넓게 가져가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기구 설계의 경우 열 해석과 같은 시뮬레이션에 대한 프로젝트를 살려 지원은 할 수 있지만 주로 기계 공학을 전공한 분들이 지원하시고, cs의 경우 반복적으로 주어진 업무에 대해 수행하는 것을 좋아하는게 아니라면 H/W 설계 (PCB설계 등), 제어 관점의 코딩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장비 제어 F/W,Logic 관련 직무도 많이 지원하십니다.
반도체 공정의 직무는 주로 화학 공학을 전공하고, 관련 연구를 마친 석사 출신이 많아 지금처럼 지원 직무에 대해 고민이 있으시다면 다양한 수상 경력에 대한 반도체 분야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공 관련 직무인 H/W,F/W 등의 직무, 관련 품질 개선 직무에 폭 넓게 지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p
po1
코과장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지거국이시라면, 기준 학점도 나쁘지 않고 졸업작품으로 수상경력 및 기타 경력이 많으셔서 충분히 어필이 되실 것 같습니다.
국제학회는 어디인지는 모르겠으나 학부연구생이 국제학회 발표는 쉽지 않은 경험입니다.
DRAM 경력으로 삼전/하이닉스 메모리 직무나 패키징 관련 경험(방열판, 국제학회) 쪽으로 가시면 어떨지 싶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