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반도체 직무 관련 질문

이제 물리학과 2학년을 마친 학생입니다. 찾아보다 보니 직 무에 대해 궁금한 점들이 많아 질문드려요.
1) 공정기술과 공정설계의 차이
2) 삼성의 공정설계 직무가 하이닉스의 소자 직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3)공정기술보다 공정설계를 가기가 더 힘든가요?
4)물리학과 주전공에 신소재공학과 다중전공 중인데 둘 중 어느 쪽에 더 잘 맞을까요?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공정기술은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실제로 공정을 운영하고 최적화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반면, 공정설계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고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며, 공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2) 삼성의 공정설계 직무와 하이닉스의 소자 직무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공정설계는 제조 공정의 설계와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소자 직무는 반도체 소자의 설계 및 특성 분석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3) 공정기술과 공정설계의 난이도는 개인의 경험과 적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정설계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이론적 지식이 요구되므로, 더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4) 물리학과와 신소재공학의 다중전공 중 어느 쪽이 더 잘 맞는지는 개인의 관심사와 진로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두 전공 모두 유용할 수 있으나, 신소재공학은 소재 개발과 관련된 지식을 더 깊이 있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1. 공정 기술은 공정 자체에 포커싱을 두어 단위 공정에서 레시피를 개선하거나 합니다.
공정설계는 각 공정을 종합하여 어떻게 성능을 향상시킬 것인지 인테그레이션 느낌이 강합니다.
공기는 교대도 하는 팀이 많구요, 공설은 연구개발 느낌이 강합니다.

2. 네 맞습니다.

3. 가기 힘들다? 고 표현하긴 어려운데 보통 공설이 더 고스펙자들이 많이 몰리긴 해요.
연구개발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4. 전공은 상관없습니다.
본인이 얼마나 직무 경험이 있냐 차이일 뿐입니다.



댓글 0
o
odis
2024.12.23
공설에도 학사분들이 많나요?
채택
쪼별
코부장 ∙ 채택률 97%

안녕하세요.

1. 공정기술은 주로 공정개발, 공정개선 업무를 진행하고, 공정설계는 소자개발을 위주로 합니다.
2. 네. JD로 봤을 때에는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아요
3. 아무래도 직무적으로 공설이 전문성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석사가 대부분입니다. (저도 공설, 석사 졸입니다)
4. 공기라면 신소재, 공설이라면 둘 다 상관없을 것 같네요. 과보다는 어떤 경험을 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1. 공기는 생산품의 수율을 개선하고 공설은 신제품 개발쪽입니다.
2. 네 대동소이합니다,
3. 티오가 공설이 적기 때문에 아무래도 진입문턱이 더 높은게 사실입니다.
4. 굳이 꼽자면 신소재쪽입니다. 신소재출신 현직자들 많습니다.


채택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공정기술은 양산라인을 담당해서 수율을 관리하거나 이슈 대응을 하고 공정설계는 공정을 어떻게 구성할지 정하는 업무를 합니다.

2. 네 맞습니다.

3. 지원자 스펙으로 보면 공설이 더 높습니다.

4. 전공보다는 본인이 공부한 내용이 중요해서 따로 외부 교육 들으셔야 합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채택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1. 공정기술은 양산 라인에서 발생한 불량을 해결하고, 양산제품의 개선에 관여하나 공정설계는 신제품과 관련된 업무를 진행합니다.
2. 넵 비슷합니다.
3. 보통 공정설계에서 요구하는 스펙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4. 공정기술이 더 맞을 것 같네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