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자동차 관련 기업(완성차,부품) 취업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 사립 4년제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자동차 기업으로의 취업을 고민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1. 저의 최종 목표는 현대자동차/기아 입니다. 이 두 회사로의 취업을 위해 자동차 부품 기업으로의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회사에서 경력을 쌓고 이직을 목표로 하고 싶은데 자동차 부품 중 어떤 아이템(예. 파워트레인, 섀시, 바디, 전장 등)을 다루는 곳이 이직할 때의 가능성이 높을 지 궁금합니다.

2. 생산관리 직무를 희망하고 있는데 직무 관련 자격증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유관 자격증은 일반기계기사/산업안전기사/CPIM/컴활1급/ERP정보관리사/ADsP 입니다.)

3. 생산관리 직무에서의 필요역량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 데이터분석, 커뮤니케이션 등)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자동차 부품 기업에서 경력을 쌓고 현대자동차나 기아로 이직할 때, 파워트레인, 섀시, 전장 부품 관련 기업에서의 경험이 특히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들 분야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핵심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이직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생산관리 직무와 관련된 자격증으로는 일반기계기사, 산업안전기사, CPIM, ERP정보관리사, ADsP 외에도 Six Sigma, Lean Manufacturing 관련 자격증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격증은 생산 효율성 및 품질 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생산관리 직무에서 필요한 역량으로는 데이터 분석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프로젝트 관리 능력, 팀워크 및 협업 능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역량은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팀 내에서 원활한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출근하기싫어
코부장 ∙ 채택률 80%

특별히 특정 아이템이 가능성이 높다기 보다는, 어느 회사에서 어떤 경력을 쌓았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1차 협력사 정도면 아이템에 따라 영향도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생산관리 직무면 ERP쪽을 아시면 좀 도움이 되실것 같고, 어쨌든 자동차는 기계 기반입니다. 기계공학 출신이시니 일반기계기사를 취득해두시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생산관리는 유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 싸움입니다. 품질에서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생산 못한다, 생산부서는 생산해야된다, 영업에서는 이거 고객사에게 꼭 출하시켜야한다 등의 다양한 이유로 여러가지 이슈가 생기는데, 생산관리에서는 유관부서와의 협업이 꼭 필요합니다.


뉴개
코사원 ∙ 채택률 0%

아주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대학원 진학을 통해 기회를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 객관적으로 지방 사립대 + 2차 3차 티어에서 1티어로 갈 확률보다 대학원을 관련 학과 + 졸업생 취직 루트를 파악하여 해당 실험실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취업을 노리는 것이 훨씬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석사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확률적으로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높다고 봅니다. 서울 권에서 서울대, 한양대, 고려대, 국민대 정도의 자동차 전공 대학원 랩실을 찾아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