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전자전기공학 품질 직무

전자전기공학 졸업예정자입니다.
설계/연구보다는 덜 이과스러운..? 품질/고객 대응 쪽 직무를 희망하는데요.

1. 관련 스펙, 경험을 쌓으려면 어떤 걸 위주로 쌓아야 할까요?
2. 품질/고객 대응 직무여도 반도체나 자동차 산업에 따라 필요한 역량이 조금 달라지는 것 같은데, 취준할 때는 이 두가지를 모두 준비하긴 하나요?
3. 품질/고객 대응 쪽이 QE, FE, CS 로 소개가 되던데 다 비슷한 일을 하는 건가요?
4. 기술적 지식+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위주인 직무에 지 원하고 싶은데, 제가 찾아본 직무가 그에 적합한가요?
5. 아무래도 연구직 보다는 전공학점을 덜 보고,커뮤니케이션 같은 협업 능력을 위주로 보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품질 및 고객 대응 직무에 필요한 스펙과 경험으로는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 관련 자격증, 고객 서비스 경험, 프로젝트 관리 경험, 데이터 분석 능력, 그리고 품질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 능력 등이 있습니다. 또한, 품질 보증(QA) 및 품질 개선 활동에 참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 품질 및 고객 대응 직무는 산업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 모두 품질 관리가 중요하지만, 각 산업의 특성과 고객 요구 사항에 따라 준비해야 할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산업 모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관련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3. QE(품질 엔지니어), FE(현장 엔지니어), CS(고객 서비스)는 모두 품질과 고객 대응에 관련된 역할이지만, 각기 다른 초점과 책임이 있습니다. QE는 품질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개선에 중점을 두고, FE는 현장에서의 품질 문제 해결에 집중하며, CS는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 및 문제 해결을 담당합니다.

4. 기술적 지식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한 직무에 지원하고자 한다면, 품질 및 고객 대응 직무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직무는 기술적 이해와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이 모두 요구되므로, 두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품질 및 고객 대응 직무는 연구직에 비해 전공 학점보다는 실무 경험과 협업 능력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팀워크 경험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1. 전기기사가 일단 가장 기본입니다.

2.산업군은 1~2개 고려해서 준비하시는분이 많습니다.

3.QE는 현업중심, FE는 현업의 트라블 슈팅 대응, CS 고객 대응으로 보시는게 좋습니다.

4.품질 기술 +설비 이해가 중요합니다.

5.학점은 기본이고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합니다
직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입니다.
.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관련 현업경험을 만드는 것이 가장 베스트이기 때문에 현장실습이나 일경험 또는 인턴을 추천합니다. 그중에서도 인턴이 가장 인정의 정도가 크기 때문에 가장 좋습니다. 최소 중견급이상의 기업에서 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채택
출근하기싫어
코부장 ∙ 채택률 80%

사실 품질관련 스펙이나 경험이 특별하게 있다기보다, 가지고 있는 역량이나 면접 시 문제풀이능력 등을 좀 더 보긴 합니다.

1. 관련 스펙이면 품질경영기사 정도가 있겠고, 6시그마는 요새는 그렇게 쳐주지는 않고 관심 정도로 생각하는 편입니다.

2. 품질이랑 고객대응은 참고로 결이 살짝 다릅니다. 기업에 따라서 (특히 완제품이냐, 부품이냐) 고객대응이 품질 보증에 속하는 경우도 있고, 완전 서비스 운영쪽으로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우선 가고싶은 기업들의 품질/고객 대응직무 요강을 한번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3. 아마 반도체 장비사 쪽을 보신 것 같은데, QE는 제품 품질, FE는 필드 엔지니어로 나가서 직접 설비 대응하는 역할, CS는 전반적인 서비스 대응이라고 보입니다. 사실 기업마다 부르는 명칭이 살짝 다르긴 합니다.

4.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사실 그냥 기본적이라고 봐야됩니다. 특정 직무가 더 필요하고 그런건 아니구요. 다만 원하시는 느낌이 품질쪽 직무 느낌이긴 하네요.

5. 전공학점을 덜 본다는 느낌보다 그냥 높으면 좋긴 합니다. 품질도 제품을 이해하려면 기본적인 전공지식이 필요하니까요. 학점을 덜 본다 이런 개념보다... 다른 역량들이 품질이랑 어울리면 뽑는겁니다. 학점이 낮아도 다른 활동들이나 역량이 연구직에 어울리면 연구직에서 뽑아가고 그렇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