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 모든 회사 / 반도체설계

Q. SoC 설계 직무 커리어 방향

안녕하세요. 8월에 전자공학을 졸업하였습니다. 3개월간 가전업계에서 근무하다가 학부때 경험을 쌓아오고 하고 싶었던 반도체 설계 직무에 늦지않은 때에 도전하고 싶어 하만 시스템반도체 설계/검증 교육(6개월 장기교육)을 신청하였고 최종합격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이번에 업계 5년차인 디자인하우스 스타트업 기업에 SoC 설계 직무에 최종합격하였습니다. 하만 교육과 비교하여 스타트업 기업에서도 교육을 6개월간 진행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돈을 받고 교육을 받으며 할 수 있는 스타트업에 취업하는 것이 맞겠지만, 최종적인 목표는 누구나 알만한 대기업의 시스템반도체 설계 엔지니어입니다.

1. 하만 같은 장기교육을 통해 연계되는 기업들에 무조건 간다는 보장은 없지만 스타트업보단 규모가 큰 기업에 도전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하만 교육을 듣는게 나을까요 아님

2. 스타트업에서 돈도 받고 교육도 들으며 직무 경험을 쌓아서 중고신입으로 도전하는게 나을까요? 중고신입의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SoC 설계 직무에 대한 커리어 방향에 대해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소를 제시하겠습니다.

1. 하만의 장기교육은 대기업과의 연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향후 대기업으로의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을 통해 얻는 네트워크와 지식은 귀하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타트업에서의 경험도 실무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업 진출을 목표로 한다면 하만 교육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은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실무 능력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교육비를 받으며 직무 경험을 쌓는 것은 중고신입으로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중고신입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1~3년의 경력을 가진 지원자를 의미하며,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은 이러한 기준에 부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귀하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옵션의 장단점을 신중히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정정합니다
코차장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멘티님 삼성전자 DS부문 SOC 개발하고 있는 멘토입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저는 교육이 아닌 현업 스타트업을 추천했을겁니다. 현업 직무 경험과 교육은 천지차이니까요. 하지만 하만은 삼성전자 자회사입니다. 추후 최종목표가 삼전과 같은 시스템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라고 하셨으니 하만에서 받은 교육이 삼전에서 어필하시기 어렵지 않을겁니다. 다만 이 경우 단순 교육만 받는것이기에 다른 스팩이 충분할 경우에 추천드리고, 교육 외 다른 스팩이 다소 부족하다 판단되시면 스타트업에서 직무 경험을 쌓은 뒤 중고신입으로 이직하시는 것이 좋은 루트라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부탁드립니다.



댓글 0
서월풍
2024.12.26
답변 감사합니다. 학벌은 지거국 상위권이지만 학점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타 반도체 IC 설계 경진대회에서 수상하며 스펙을 갖추고자 했지만, 제가 생각하기엔 학점에서 서류들이 떨어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럴경우면 더더욱이 현업으로 경험을 쌓는게 맞겠죠?
r
reinheart
코차장 ∙ 채택률 62%

1 하만교육 들으시면서 준비하시고

2 듣고나서 스타트업 가셔도 충분합니다.

중고신입은 1년이상 경력직 입니다. (같은계열)

하만 교육은 워낙 유명하니 들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댓글 0
서월풍
2024.12.26
그렇긴 하지만 그럼 하만 교육이 2월부터 시작이고 스타트업은 담주에 바로 입사입니다... 기간 상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하는데 어느게 나을까요..?
p
po1
코과장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실무를 경험하며 교육받는것과 그냥 교육프로그램을 듣는것의 차이는 크다고생각합니다. 라이센스나 DK 등 여건이 다르고, 실제 tape out 경험이 중요하므로 스타트업 입사를 추천드려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