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 모든 회사 / 생산기술

Q. 생산기술 직무 질문

안녕하세요.
자동차 부품 기업에 생산기술 직무로 입사가 예정되어 있는데, 회사 경험이 없는 쌩신입이라 궁금한 점이 있어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1. 생산기술이 힘들다고 하는 이유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저는 워라벨도 중요하지 않고, 여자지만 체력이 좋기 때문에 어떤 육체적 정신적 어려움도 견디겠다라는 막연한 포부만 가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알면 더 마음을 다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장롱면허인데 아무래도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해 운전을 할 줄 알아야 하겠죠? 시간이 별로 없어서 살짝 연습한다 해도 초보 운전인 수준일텐데 그 초보 수준인 몇 달간 운전을 못해서 곤란한 일이 생길까 걱정이 됩니다.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생산기술 직무는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공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신속하게 해결해야 하는 압박이 있습니다. 둘째, 기계나 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생산 중단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셋째, 팀원 간의 협업이 중요하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기술 변화에 적응해야 하므로 학습과 자기계발이 필요합니다.

2. 운전 능력은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요소일 수 있습니다. 초보 운전자로서 운전 경험이 부족한 경우, 초기에는 긴장감이나 불안감이 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운전 중 사고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복잡한 도로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연습을 통해 자신감을 쌓고, 안전 운전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전 연습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향후 사회생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멘토1246557
코사원 ∙ 채택률 100%

생산기술 직무는 우선 라인 개조 업무가 많습니다.
문제는 생산라인을 개조하기 위해선 라인을 세워야 하는데, 평일에 라인을 세우기는 쉽지 않죠.
그래서 개조 기간이 긴 프로젝트들은 주말이나 연휴 기간에 많이 개조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설비들을 많이 접해야 하고, 생각보다 생산 설비들은 훨씬 많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항상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고, 문제점과 개선할 점들이 끊이질 않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자연스럽게 워라밸도 타 직무에 비해 열악하고, 근무환경도 열악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장은 대부분 외지에 있기 때문에 근무지도 열악하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기피하는 직무이기도 합니다.

운전은 아마 근무지가 외지에 있으실 것 같은데, 할 줄 아시는 게 좋습니다.
생산기술 직무도 생각보다 출장이 잦은 직무 중 하나 입니다.
그리고 생산기술 직무는 예상치 못한 단발성 업무들이 잦기 때문에 통근 버스를 간혹 이용 못할 때도 있고요. 단 기간에는 운전을 잘 못하는 사정을 설명하면 아마 이해해줄겁니다.


채택
J
Joosmentor
코사원 ∙ 채택률 100%

첫직장 그리고 이직해서 현재까지 생산/생산기술 업무만 해왔습니다.
공대생들이 취직하고 젤 힘든부분이 내가 이러려고 공부했나라는 생각이 많이 드실껍니다. 특히 현장과 같이 일할때.
그부분만 잘 적응하신다면 괜찮으실겁니다. 그 회사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회사.. 모든 친구들이 겪는거다라고 생각하시면 이겨내는데 도움이 되실껍니다.
첫번째. 생산기술이 왜 힘드냐.
현장과 소통 그리고 생산수율/ 공정 / 품질을 조절하는 메인 잡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손으로 모든게 다 운용이 될수있는만큼 스트레스도 큰 부분이지요. 그만큼 자부심을 가지면 될거같아요!
두번째
운전은 해놓으면 좋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보통의 공장들은 교통이 안좋기때문에 자차가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그런 부분들을 수용가능하다면 굳이 필요하진 않다고 생각됩니다.
더 자세한부분이 궁금하시면 남겨주세요



댓글 0
J
Joosmentor
2024.12.29
출장 같은경우도 다 교통비 지원되고 하기에 괜찮습니다~~
채택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1. 다양한 불량 발생 + 품질과 생산 사이의 조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필요없습니다. 영업이 아닌 이상 운전 잘 안합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생기는 금형을 책임을 지고 있다보니 출장이 잦은데 그 사유는 모든 제품을 본사가 다 만들수 없다보니 협력업치나 하청에서 만드는데 이럴때 사용하는 금형도 본사에서 관리를 하다보니 출장이 잦게됩니다


채택
출근하기싫어
코부장 ∙ 채택률 80%

1. 생산기술의 직무 자체가 유관부서와의 트러블이 있습니다. 생산직들은 대부분 40~50대 아저씨들이 많은데, 요구사항들을 어느정도 들어주면서도 (실제 운용하는 건 생산직 엔지니어들이니까요) 제한된 예산에 맞춰서 설비를 들여오는게 쉽지 않습니다. 그 둘 사이에서 잘 조절해야되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있고, 양산 전에 설비를 완벽하게 셋팅해놔야하는데 그 때 시제품을 많이 만들어보게 됩니다. 그러면 어쨌든 약간의 육체적인 노동이 필요하긴 하겠죠. 다만 이건 먼저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하다보면 주변 분들이 알아서 잘 도와주십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다들 적응 잘 합니다.

2. 운전을 하면 당연히 좋은데 이건 순전히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연습을 해놓으시면 좋긴 하겠죠. 개인 연수같은것도 받아보시면 좋고, 중고차를 구입하셔서 연습하셔도 좋습니다. 다만 운전을 못하더라도 업무에 큰 지장이 있는건 아니니 이것도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필요하다 싶으면 그때 하시면 됩니다.


채택
데셈버
코대리 ∙ 채택률 91%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생산기술 지금 이제 2년차인 사원입니다.

저도 자동차 부품기업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생산기술이 힘들다고 하는 점은 보통 같은 회사에 입사해서 동기들에 비해서 좀 일이 많은 편이긴 합니다. 업무 R&R이 넓기 때문에 많은 것을 보고 배우며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만큼 신경써야 할 부분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에 타 동기들 보다 일이 많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현장에서 주로 생산직 분들과 부딪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고개도 한참 숙여야 하며 능글능글한 멘탈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힘들다고 생각되어요...

그래도 저는 일이 많을 때에는 내가 그정도로 필요한 인재구나.. 라고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기도 해요

음.. 운전때문에 곤란한 일은 딱히 생기지는 않을 것 같아요.. 대신 잘하면 좋죠 뭐.. 누가 신입한테 출장갈때 운전하라고 시키겠어요.. 요새 기차나 비행기 타고 갈듯 해요...

그래도 본인의 편안함을 위해서라면 나중에 출퇴근의 편의성을 위해서 차 운전에 대한 그런 경험은 조금씩 운전 연습하면서 화이팅 하자구요...

암튼 입사가 곧 예정 되어 있다 하니 화이팅 하시구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