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미래에셋증권 / 모든 직무

Q. 미래에셋증권 digital, research, global 직무

안녕하세요. 이번에 수시채용 풀에 지원하려는 졸업예정 학생입니다. SKY 중 한 곳을 다니고 있고, 전공은 증권가와는 먼 생명 쪽입니다. 부모님께서 자산이 꽤 있으신 편이라 증권 쪽으로 취업하면 취업한 증권회사에 돈을 다 넣어서 실적 올려주시겠다며 증권사를 추천해주셨고, 저 또한 전부터 돈의 흐름에 관심이 있었기에 증권사 취업을 알아보는 중입니다. 각설하고 질문으로 돌아가자면,
1. 디지털, 리서치, 글로벌 직무 중 그나마 전공을 타지 않는 직무는 뭐가 있을 지
2. 각각의 직무가 실제로 하는 일은 무엇인지 (홈페이지에서 설명한 내용은 너무 개괄적이여서 다른 분들 후기나 정보를 찾아보려고 했는데 많이 없더라구요ㅠㅠ)
3. 워라밸은 어떤 편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디지털, 리서치, 글로벌 직무 중에서 전공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직무는 디지털 직무입니다. 디지털 직무는 IT 및 데이터 분석 능력과 관련된 업무가 많아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진 지원자에게 열려 있습니다.

2. 각 직무의 구체적인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디지털 직무: 디지털 플랫폼 개발 및 관리, 데이터 분석, 사용자 경험 개선 등을 포함합니다.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디지털 서비스를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리서치 직무: 시장 및 산업 분석, 투자 의견 제공, 리포트 작성 등이 주요 업무입니다. 경제 동향 및 기업 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을 지원합니다.
- 글로벌 직무: 해외 시장 조사, 외환 및 해외 투자 관련 업무, 글로벌 투자 전략 수립 등이 포함됩니다. 국제적인 금융 시장의 동향을 분석하고, 해외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워라밸은 회사와 직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증권업계는 업무 강도가 높은 편입니다. 특히 리서치와 글로벌 직무는 시장 상황에 따라 긴 시간 근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직무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직무의 워라밸은 개인의 업무 스타일과 회사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그나마 리서치가 낫고 글로벌은 석박사 우대에 AI /IT 전문가 선호 합니다. 리서치는 4년대 대졸로 지원가능합니다.
분석보고서 발간을 통해 투자자 및 영업∙운용부서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경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크레딧 시황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투자의견을 제시합니다.


채택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1. 그나마 글로벌쪽이 전공을 덜 타기는 합니다. 리서치는 금융/경제를 우대하고 디지털은 IT나 데이터분석, 사이언스 등 우대합니다.

2. 디지털은 데이터분석과 전략수립쪽이고 리서치는 말 그대로 RA쪽 (애널리스트)이고, 글로벌은 해외투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합니다.

3. 증권 자체가 대체적으로 워라밸은 그닥입니다. 물론 그만큼 금융치료로 보상을 받죠.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