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삼성전기 / 생산기술

Q. 전기과 스펙 질문드립니다.

이번에 졸업하게 된 지방 사립대학 다니는 전기공학과 학생입니다 스펙으로는

학점 4.31 1종보통, 컴활1, 한국사1, 전기기사, 토스IH

에너지 진단회사 현장실습 2개월, 학과에서 진행한 PLC,CAD교육 수료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 봉사동아리 공모전 우수상 수상, 교내 캡스톤디자인 장려상 수상, 교내 현장실습 수기공모전 장려상 수상

추가로 이공계장학생으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명의로 장학증서가 있습니다.

직무로는 생산기술 또는 인프라 쪽으로 가고 싶습니다.

막상 졸업할 때가 되니 직무관련 활동을 많이 하지 못해서 아쉬운 것 같습니다.

2024 하반기에 집안에 사정이 생겨서 여유가 안나 원서를 삼성전기 하나만 써서 붙었지만 gsat 공부를 못해서 탈락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인적성 공부말고는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까요??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전기공학과 졸업을 앞두고 계신 상황에서 직무 관련 활동을 강화하고자 하시는 것에 대해 이해합니다. 다음과 같은 활동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프로젝트 참여: 관련 분야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나 학술 연구에 참여해 보십시오.

2. 인턴십: 가능하다면 관련 분야의 인턴십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생산기술이나 인프라 관련 기업에서의 경험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자격증 취득: 전기 관련 자격증 외에도 생산기술이나 인프라 관련 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하는 것을 고려해 보십시오. 예를 들어, 품질관리, 안전관리 관련 자격증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4. 네트워킹: 관련 분야의 세미나나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고 기회를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5. 온라인 강좌: Coursera, edX와 같은 플랫폼에서 관련 기술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여 지식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6. 자기계발: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거나 관련 주제에 대한 글을 작성하여 자신의 전문성을 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직무 관련 경험을 쌓고, 향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스펙은 충분해보입니다.
서류를 합격한 것부터 정량적인 스펙은 합격권이라는 것입니다.

GSAT공부외에는 인턴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
직무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동문님,

스펙이 전체적으로 좋으신데 PLC쪽이나 수배전반 교육 한번더 받아보시면 좋겠고 인프라 말고도 화공설계나 발전설계도 괜찮은 직종이니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요즘 조선도 다시 활황이고 선배도 많습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생산기술이나 인프라는 직접적인 경험을 쌓기가 어렵습니다.
생기만해도 실제로 공정단/설비를 경험해보시는게 좋은데 그게 쉽지가 않죠.

따라서, PLC제어나 CAD 관련 경험을 쌓아서 많이 준비들 합니다.

현실적으로 졸업 후에 할 수 있는건 없습니다.
교육을 듣는다해도 크리티컬한 스펙이라기보단 개인의 역량 향상이거든요.
gsat에서 떨어진 것이므로, 다음번엔 gsat 제대로 준비하시는 것 외엔 지금 크게 할 수 있는건 없어요.
상반기에는 자소서 많이 써서 관련된 곳 여러군데 다 지원하시구요, 붙는 곳 어디라도 가셔서 실무 경험을 쌓는게 가장 좋은 길입니다.
바로 삼성전기로 가는게 베스트구요.


채택
설비쟁이
코대리 ∙ 채택률 74%

안녕하세요 멘티님.

삼성전기 서류를 붙었다면 스펙, 자소서상에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앞으로는 자소서 보완 (현재 틀에서 디테일한 부분 다듬기), 인적성 준비, 면접스터디 병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생산기술 직무는 생산직 분들과 밀접하게 엮여있어서 직무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점도 중요합니다. (아무래도 생산직분들이 다소 거친 분들이 많기 때문). 자소서에 직무적인 어필 뿐만 아니라 동아리/대외활동 경험에서 팀원 간, 또는 팀 간 협업한 경험이 포함되면 좋을 듯 합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수상경험도 있으시고 자격증 및 기사도 취득을 하셔서 상당히 상위권 스펙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현장실습은 인정의 정도가 낮고 단순 경험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아서 저는 인턴을 추가적으로 하시는 것이 스펙업을 위해서는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채택
하나린0417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정량적스펙은 훌륭하십니다.....
채용시즌에 이력서 많이 넣어보는거 현실적인 방법이네요
정규직을 메인으로 인턴을 서브로 넣어보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