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공정설계

Q.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에서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과정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공정기술 직무 공부 중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

현업에서는 공정의 최적 조건을 잡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치나요?

만약 PECVD 공정의 압력, RF Power 변수만으로 Uniformity가 가장 좋고, D/R이 큰 레시피를 작성한다고 하면,
압력 Split -> Uniformity가 가장 좋을 때 압력 조건 잡음 -> 그 압력 조건에서 다시 RF Power 스플릿 -> D/R 이 가장 클 때의 RF Power 조건 잡음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맞나요?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또 다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에서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실험 계획 세우기
먼저 실험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 때,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정하고, 각 변수들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후 공정 최적화 과정에서 변수들을 조정하면서 최적의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실험 수행
세운 실험 계획대로 공정을 수행합니다. 이 때, 변수들을 조정하여 여러 가지 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분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여러 가지 변수들의 조합에 따라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하고, 최적의 조건을 찾습니다.

4. 최적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조건을 찾습니다. 이 때, 여러 가지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전 알고리즘, 탐색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5. 검증
찾은 최적의 조건을 검증합니다. 이 때, 반복적인 실험과 분석을 통해 조건을 더욱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6. 적용
검증이 완료되면 최적의 조건을 실제 공정에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공정 최적화를 위해 다른 방법으로는 DOE(Design of Experiments)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DOE 방법은 다양한 변수들을 조합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는 통계적 방법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공정 최적화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에서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보통 어떤 공정에 어느공정이 이런것은 다 갖춰져있습니다. 그래서 완전 새로운 모듈이 아닌이상 대부분 튜닝을 한다고 합니다. Base레시피를 기준으로 조금조금씩 시간이나 압력이나 이런것들을 바꿔가며 평가를 하고 그 모듈에 적용하게 됩니다.
질문자분께서 말한것은 보통 공정기술에서 하지않고 공정설계나 타 개발팀에서 scheme과 레시피를 짜오면 그것을 공정기술이 받아서 튜닝해서 양산에 적용하는 구조라 보시면 됩니다.



댓글 0
h
hhhy3
2024.03.11
감사합니다 멘토님!

그러면 공정설계 팀에서 받아온 Base 레시피로 공정을 진행했을 때
1. 산포가 커서 산포를 관리하기 위한 레시피 조건을 찾는 것
2. 산포는 좋으나 타겟팅이 안돼서 레시피 조건을 찾는 것
3. Defect 발생해서 개선하기 위한 레시피 조건을 찾는 것
을 레시피 튜닝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채택
레시피를 전달하는 전도사(레전s)
코과장 ∙ 채택률 72%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질문] 공정의 최적 조건을 잡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치나요?
[답변] 말씀해주신 내용이 맞습니다. Process Knob이라고 해서 기본적으로 장비사에서 제공하는 Process Tuning Knob이 있습니다. (1)Gas split (2)Power(RF & AC) Split (3)Spacing Split (4)Temp(Heater & Gas line & Ampoule) split (5)Substrate split 등이 있습니다. 특정한 순서를 가지고 접근 하지는 않습니다. Fish Bone으로 형태를 잡고 Target하는 Goal을 맞춰 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채택
코칭E
코부장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꼭 그런건 아니에요. 예시 중 하나로는 필자분이 말하신 부분이 어느정도 맞아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보통 실험계획법에 의거해서 가설에 의한 여러가지 변수군을 정하여 모집단을 설정하여 집단군별로 테스트를 하여 여러 필터링을 통해 메인이 되는 인자를 찾아 최적화시키는 과정을 되풀이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