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삼성전자 / 패키지디자인

Q. RDL공정

rdl공정에 관심이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rdl공정 경력자 모집 공고에서 "Design rule set up 경험자" 를 우대조건으로 걸어 놓았는데 해당 이유가 궁금합니다.
rdl공정개발과 design rule간의 연관성이 무엇일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RDL공정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RDL(Redistribution Layer)을 제작하는 공정입니다. RDL은 칩과 칩 사이의 연결을 위한 매우 작은 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밀도 및 고성능을 요구하는 반도체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DL공정에서는 매우 미세한 디자인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Design rule set up은 RDL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와 재료, 공정 등을 설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때, 디자인 규칙을 잘 이해하고 설정할 수 있는 경험이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디자인 규칙은 RDL의 미세한 구성 요소들을 정확하게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며, 이를 잘 설정하면 RDL의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RDL공정에서는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디자인 규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디자인 규칙은 반도체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RDL공정에서 디자인 규칙을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RDL공정 경력자 모집 공고에서 "Design rule set up 경험자"를 우대조건으로 걸어놓은 것입니다. 이는 해당 공정에서 필요한 디자인 규칙을 잘 이해하고 설정할 수 있는 사람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DL공정에 관심이 있는 취업준비생이라면 디자인 규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공정개발의 범주안에 제품 디자인의 보정룰도 정하며 진행하게 됩니다. 회로 구현 관련 업무로 설계쪽과 관련성이 깊습니다.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단순히 공정을 개발함과 동시에 개발한 공정을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스펙을 잡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소자의 단면을 수평/수직으로 잘라서 보면 cell과 cell이 아닌 영역의 높낮이가 약간 차이가 나는데요, 소자적 관점까지 고려하여 공정에서의 스펙을 잡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