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품질 직무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경기권 대학교 졸업예정인 산업경영공학과 학생입니다.
품질 직무 관련하여 취업을 하고 싶어서 몇가지 질문 남깁니다.
현재 스펙
1. 학점: 4.32/4.5
2 어학: 오픽(IM2) + 토익은 공부하는 중
3. 자격증: 품질경영기사, 6시그마, ADSP, 산업안전기사, 컴활1급
4. 대외활동: 공모전 장려상 수상 (품질직무 관련X)
5. 교내활동: 2회 (품질직무 관련X)
6. 학과 특성상 여러 전공과목에서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품질직무 관련 포함)
현재 이런 상태이고 반도체 관련 회사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견~대기업)
하지만, 아무래도 반도체 관련 지식이 없는 것을 인지해 여러 반도체 교육을 들을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품질 직무 경험이 전공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밖에 없어 부족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분석 TOOL을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1. 인턴십 경험: 반도체 관련 기업에서의 인턴십은 실무 경험을 쌓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품질 관리 부서에서의 인턴십을 통해 실제 업무를 경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전문 교육 및 세미나 참석: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관련 교육 과정이나 세미나에 참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최신 기술 동향과 품질 관리 기법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참여: 학교나 외부 기관에서 진행하는 품질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 경험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은 면접 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자격증 추가 취득: 품질 관련 자격증 외에도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공정 관련 자격증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5. 네트워킹: 업계 전문가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를 얻고, 취업 기회를 모색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관련 커뮤니티나 포럼에 참여하여 인맥을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분석 툴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도구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툴로는 SPICE, Cadence, Mentor Graphics 등의 전자 설계 자동화(EDA) 툴이 있으며, 품질 분석 및 결함 분석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도 활용됩니다. 각 툴의 사용은 특정 프로젝트나 필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