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BMS SW 직무 질문드립니다.
저는 석사 과정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및 진단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로 실주행 데이터 기반으로 배터리 팩의 열화와 성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전기차에대한 실주행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지보수 및 해당 차량데이터로 데이터기반 진단기술 개발관련하여 연구중입니다.
특히, 현재 제가 연구하고 있는 BMS-SW와 진단 분야가 전기차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현업에서는 이러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상태 추정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 분석 능력, 또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혹은 도구 활용 능력 등 현업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술들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해당 SW 직무지원시 학위과정동안 경험한 부분이 차별화가있는지 혹은 해당 직무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 상태 추정 알고리즘 개발: 배터리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는 배터리의 열화 상태와 성능 예측에 필수적입니다.
2. 데이터 분석 능력: 실주행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평가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데이터 처리 및 해석 능력이 중요합니다.
3. 프로그래밍 언어 및 도구 활용 능력: Python, C/C++, MATLAB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 도구의 활용 능력도 중요합니다.
4.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전기차 및 배터리 기술에 대한 이해: 전기차의 구조와 배터리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는 문제 해결 및 기술 개발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학위 과정 동안의 연구 경험은 해당 직무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경험은 실제 산업에서 요구되는 실질적인 기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기반 진단 기술 개발 경험은 차별화된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BMS 소프트웨어 직무에 지원할 경우,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4.12.26